11~15일 접수… 모집정원 79% 27만여명 선발

11~15일 접수… 모집정원 79% 27만여명 선발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3-09-06 00:48
수정 2023-09-0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학생 특히 관심… 학생부전형 자소서 폐지

이미지 확대
2024학년도 대학 입시는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N수생’ 증가 같은 변수가 많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졸업생 응시 비율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시모집에 대한 재학생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24학년도 대입 전체 모집 인원은 올해보다 4828명 감소한 34만 4296명인데, 수시모집 비중은 전년보다 1% 포인트 늘어나 전체 인원의 79.0%(27만 2032명)를 선발한다. 수도권 대학은 수시모집 선발 비율이 소폭 감소해 64.4%를, 비수도권 대학은 88.1%를 뽑는다. 수시모집의 56.7%는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대부분의 대학이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성적만 반영한다. 교과 성적의 영향력이 가장 크지만 많은 대학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므로, 수험생들은 지원하기 전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 제출이 폐지되고 학생부와 면접만으로 지원자를 평가한다. 서류평가 항목이던 수상 경력도 반영되지 않는다. 지역균형전형 인원은 확대되는 추세다. 일부 대학에서는 학교장 추천 인원에 대한 제한을 없앴다. 수시 일부 전형은 ‘N수생’ 지원이 불가능하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대체로 졸업 연도에 따른 지원 자격 제한이 없지만, 학생부교과전형은 대학별로 지원 자격이 달라 주의해야 한다. 수험생들은 개인의 경쟁력을 파악해 가장 유리한 전형을 찾아야 한다. 교과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학생부교과전형을, 학생부 내용에 자신 있는 학생은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전략을 수립해 볼 수 있다. 학생부 역량, 대학별 고사 준비 정도, 수능 경쟁력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 수시 원서접수 기간은 오는 11~15일이다. 대학마다 접수 기간이 다르다. 대입 상담, 지원 가능 대학, 대학별 전형을 비롯한 세부 정보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입 정보 포털 ‘대학어디가’(www.adiga.kr)나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온라인 플랫폼 ‘쎈(SEN)진학 나침판’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수시모집 대학 순서는 가나다 순

2023-09-0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