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 산돌배나무 잎 아토피 피부염 완화

자생 산돌배나무 잎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7-08-27 15:19
수정 2017-08-27 15: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생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가려움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2016년부터 가천대 약학대 김선여 교수팀과 ‘국내 자생생물 유래 환경성질환 억제 소재 탐색’ 연구를 진행하면서 산돌배나무의 잎 추출물이 염증유발인자를 농도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옛부터 전해내려온 피부 부스럼·가려움 등에 사용된 자생식물인 산돌배나무·개구리밥 등 7종에 대해 아토피 피부염 증상 완화에 대한 효능 연구를 수행했다.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실험용 쥐에 6주 동안 주 3회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농도 1%)을 발랐더니, 추출물을 바르지 않은 동물군에 비해 유발단백질인 혈중 면역글로블린 E가 74% 감소하고, 피부 손실량이 40%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아토피 피부염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인 덱사메타손과 비교 실험한 결과도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2.3배 높게 나타났다. 6주 동안 주 3회 덱사메타손(농도 0.1%)을 바른 동물군의 가려움증이 약 30% 경감된 데 비해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농도 1%)은 경감률이 70%에 달했다. 현미경으로 동물 피부 조직 단면을 관찰한 결과에서도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 처리군의 피부 표피가 정상군(무처리군)과 유사한 정도로 회복됐다.

연구진은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능 실험결과를 지난해 10월 31일 특허출원한데 이어 올해 8월 과학기술논문 색인지수(SCI) 논문 중 하나인 ‘저널 오브 에스노파마콜로지’에 투고했다.

연구진은 주요 효능 물질에 대한 추적 후속 연구와 함께 의약품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업에 기술이전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