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하드 아이스께끼’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하드 아이스께끼’

입력 2012-08-06 00:00
수정 2012-08-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교시였으니 오후 3시쯤이었을 것이다. 장마 끝 ‘쌩볕’이 가시처럼 살갗에 박혔고, 아스팔트가 내뿜는 지열은 숨을 턱턱 막았다. 애들은 오와 열을 맞춰 그 길을 뛰었다. 코로 빨려드는 더운 바람이 화덕의 열기 같았다. 밑창이 닳은 운동화로 감싼 발바닥이 이내 뜨거워졌다. 그렇게 3∼4㎞쯤 갔을까. 뒤쪽에서 첫 낙오자가 나왔다. 자전거를 탄 교련 선생이 신경질적으로 호루라기를 불어댔다. 얼마 안 가 또 한 놈이 나자빠졌다. 대열을 세운 교련 선생은 쓰러진 애를 군화발로 냅다 걷어차며 “그따구 정신으로 뭘 하겠냐.”고 눈을 부라렸다.

항상 정신이 문제였다. ‘침략의 무리들이 노리는 조국’을 지키기 위한 대오의 전면에는 군대, 2선에는 예비군, 3선에는 학생이 있었다. 그러니 학생이라고 군사훈련을 피할 수 없었다. 애송이 고등학생들이 뭘 알까만 목이 터져라 ‘진짜 사나이’를 불러댔다. 그런 교련으로 멍이 드는 것은 몸보다 마음이고 정신이었다. ‘반공’ ‘승공’ ‘멸공’으로 이어지는 날선 구호들이 좀벌레처럼 정신을 갉아댔다. 그 집요한 세뇌는 국민정신 개조로 이어졌다. 뉴스 앞자리에 ‘영도자’ 소식이 나오지 않으면 이상했고, 챔피언이 된 복싱선수가 대통령을 먼저 외치지 않으면 불경스럽다고 쳤다. 요즘 우리가 보는 북한 선수들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불과 얼마 전의 우리 자화상이었다. ‘교련대회’라는 이름으로 고등학생들에게 M-1총 들리고, 배낭 지워 달리게 해 충성의 강도를 겨뤘던 그 덥고 길었던 시절.

목이 타고 침이 말라붙어도 물을 찾지 않았다. 그런 나약함으로는 ‘호국의 간성’이 될 수 없다고 배웠기 때문이다. 그 날, 행군을 마치고 학교로 돌아와서도 낙오자들은 ‘쪼인트’가 까이는 가중처벌에 식은땀을 흘렸고, 하굣길 구멍가게에서 산 ‘하드 아이스께끼’를 빨며 무력한 청춘을 위로해야 했다.

어느덧 나이 들고말았을 교련 세대들은 그때 온몸으로 더위의 무서움을 배웠다. 정신만으로는 감당할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되는 극한의 폭염 속에서 몸을 자빠뜨리며 정신을 지켜냈던 세월.

jeshim@seoul.co.kr

2012-08-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