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9년 검찰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수사할 당시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을 불러 “부담스럽다”는 의사를 검찰에 전달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원 전 원장이 주장했다. 원 전 원장은 이 전 대통령의 뜻에 임채진 당시 검찰총장을 만났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원세훈(오른쪽) 전 국정원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원세훈(오른쪽) 전 국정원장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4부(부장 김상동)의 심리로 10일 열린 ‘민간인 댓글부대’ 관련 국고 손실 혐의 등의 재판에서 원 전 원장은 피고인 신문 도중 “제가 할 일이 아닌데 대통령께서 저를 불러 노 전 대통령 수사가 부담이 된다고 했다”고 밝혔다. 검찰이 원 전 원장에게 2009년 4월 노 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을 반대하는 움직임에 대한 심리전을 지시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것도 내가 시달렸다. 제가 할 일이 아니었다”고 답하며 나온 진술이다.
원 전 원장은 이어 “(이 전 대통령이) 권양숙 여사는 부산 호텔에서 수사를 했는데 그렇게 조용히 하든지 방문 조사를 했으면 좋겠다는 걸 검찰총장에게 전달하라고 했다”면서 “부담스러워서 대학 동기 중 임 전 총장과 동기인 사람에게 얘기해 달라고 하니 저보고 직접 하라고 해서 안가에서 총장을 만났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임 전 총장이 원 전 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중수부장(당시 이인규 대검 중앙수사부장)이 전혀 내 말을 안 듣는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원 전 원장은 심리전단이 민간인 등으로 구성된 외곽팀을 운영해 댓글 공작을 벌였다는 혐의에 대해서도 “저는 다음 홈페이지를 본 적도 없고 들어간 기억도 없다”고 반박했다. 반면 검찰은 원 전 원장이 “종북 좌파에 대한 대응을 철저히 해야 한다”는 지시를 지속적으로 하달했고 외곽팀에서는 박원순 서울시장 등 야권 성향 정치인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의 정부 비판 세력, 인사들에 대한 비방글을 올렸다고 강조했다.
원 전 원장과 국정원 이종명 전 3차장, 민병주 전 심리전단장의 재판은 이날 검찰과 변호인 측이 최종 의견을 밝히며 변론이 마무리됐다. 검찰 구형과 선고 일정은 다른 국정원 사건 재판 진행에 따라 추후 이뤄질 예정이다. 원 전 원장은 정치 개입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법에서만 3개의 재판을 받고 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