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똑소톡-소액재판의 소소한 이야기] “군사보호구역 안 알린 땅 대금 돌려줘야”

[소똑소톡-소액재판의 소소한 이야기] “군사보호구역 안 알린 땅 대금 돌려줘야”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8-12-13 00:42
수정 2019-05-26 1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획부동산 땅값 1485만원 소송

#원고 vs 피고 “기획부동산에 속아 땅을 잘못 샀다”는 최모(61·여)씨 vs “문제 없다”는 서울 강남의 한 부동산업체
이미지 확대
●원고 “토지 정보 다 알려주지 않았다!”

지난해 1월 최씨는 한 부동산업체에서 일하는 지인의 소개로 서울 종로구 신영동 일대 필지 중 49.527㎡(약 15평) 규모의 지분을 1485만원을 주고 샀습니다. “1종 일반주거지라 틀림없이 개발된다”, “몇 배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말에 평생 모은 돈을 투자했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개발이 불가능한 ‘비오톱´(생태서식공간) 1등급 토지였습니다. 게다가 군사보호구역, 레이더망 설치지역이기도 해 구청 직원에게 “개발허가가 절대 나올 수 없는 곳”이란 말까지 뒤늦게 들었죠. “이런 땅을 왜 팔았냐”며 수차례 항의하고 피켓 시위까지 벌인 최씨에게 업체는 환불해 준다, 일부만 돌려준다, 못 돌려준다고 입장을 계속 바꿨습니다. 결국 최씨는 지난 3월 직접 소장을 써 들고 법원을 찾았습니다.

●피고 항변 “속이지 않았다. 말 안 했을 뿐!”

업체는 펄쩍 뛰었습니다. “개발 정보를 제공한 사실이 일체 없다”는 겁니다. 오히려 최씨가 어디서 그런 말을 들었는지 밝히라고 따졌습니다. 또 토지이용계획 확인원에 군사보호구역 표시가 돼 있는데 거래 때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건 최씨 잘못이라고 맞섰습니다. 같은 주소의 땅을 130여명에게 나눠 팔았는데 유독 최씨만 문제제기를 한다고도 했습니다.

●법원 “고지 의무 있어… 땅값 다 돌려줘라”

서울중앙지법 민사1003단독 성기문 원로법관은 12일 “개발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고지받았으면 투자 목적의 지분 거래를 하지 않았을 게 경험칙상 명백하다”면서 “피고는 원고에게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관련 사정들을 고지할 의무가 있었는데 하지 않았다”며 최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상대방이 착오에 빠져 있는 걸 알면서도 알리지 않은 ‘부작위에 의한 기망’이라는 것입니다. 최씨는 선고 순간 환호성을 질렀고 도무지 믿을 수 없다는 듯 재판장에게 몇 번이나 결과를 확인하고 나서야 법정을 떠났습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서울신문이 새로 선보이는 ‘소똑소톡’은 ‘작지만 똑 부러지는 소액재판의 소소한 이야기’를 다루는 코너로 일상에서 벌어지는 소액분쟁을 통해 법률 지식은 물론 갈등 해소 과정을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입니다.
2018-12-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