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가위 이용해 에이즈, 간염도 1시간 내에 진단

유전자 가위 이용해 에이즈, 간염도 1시간 내에 진단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3-14 16:01
수정 2022-03-14 16: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크리스퍼-캐스12a 이용해 HIV-1, B형간염바이러스 검출 성공

이미지 확대
유전자 치료방법 중 유전자 가위기술은 가장 주목받고 있는 혁신 기술 중 하나다. 유전자 가위가 특정 염기서열을 갖는 DNA를 자르면 생체 특유의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다. 이런 과정 중에 원하는 DNA나 한 가닥의 소수 염기서열을 투입하면 특정 유전자의 삽입, 편집이 가능해진다. 미국 UC버클리/MIT 제공
유전자 치료방법 중 유전자 가위기술은 가장 주목받고 있는 혁신 기술 중 하나다. 유전자 가위가 특정 염기서열을 갖는 DNA를 자르면 생체 특유의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다. 이런 과정 중에 원하는 DNA나 한 가닥의 소수 염기서열을 투입하면 특정 유전자의 삽입, 편집이 가능해진다.
미국 UC버클리/MIT 제공
유전자 가위는 특정 염기서열을 인지해 해당 부위의 DNA를 잘라내는 기술로 인간 세포와 동식물 세포의 유전자를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2020년 노벨화학상은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개발한 두 명의 여성 과학자에게 돌아가기도 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가위를 질병을 진단해 내는 방법을 개발해 주목받았다.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진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캐스12a’를 이용해 RNA 분해효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RNA 분해효소 중 하나인 ‘RNA가수분해효소 H’는 에이즈 원인 바이러스인 HIV-1,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비롯한 역전사 바이러스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RNA가수분해효소 H는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있어서도 중요한 표적이다. 보통 RNA가수분해효소 H 활성을 검출하기 위해서 전기영동,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기술은 민감도가 낮고 검출과정이 복잡하며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연구팀은 크리스퍼-캐스12a를 이용해 표적 유전자를 발견하면 주변의 DNA를 절단해 형광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크리스퍼-캐스12a을 이용해 민감도를 높이고 1시간 이내에 검사 결과를 내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활용해 암세포의 RNA가수분해효소 H 활성도 검출할 수 있었다.

연구를 이끈 박현규 카이스트 교수는 “이번 기술은 크리스퍼-캐스12a 시스템의 부수적 절단 활성을 활용해 RNA가수분해효소 H를 민감하게 검출해 항바이러스제 표적 발굴에 활용할 수 있다”며 “다양한 질병을 조기 진단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