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코리아 그랑프리 스타트] 챔피언 등극 ‘3대 변수’는

[F1 코리아 그랑프리 스타트] 챔피언 등극 ‘3대 변수’는

입력 2010-10-23 00:00
수정 2010-10-23 0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① 낯선코스 ② 물젖은 경기장 ③ 시차 적응

사상 최초로 한국에서 열리는 F1 그랑프리의 챔피언 자리에는 누가 오를까.

22일 전남 영암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포뮬러 원(F1) 코리아 그랑프리의 시동이 걸렸지만 변수가 있어 결과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

선수들에게는 처음 달려보는 서킷이라는 점이 부담이다. 대회를 여는 레이스인 데다 경기장 최종 검수도 대회 개막을 불과 10일 정도 남기고 이뤄져 정보가 많지 않다.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은 바닥이 비교적 미끄러울 것으로 전망된다.

로투스 팀 관계자는 “노면을 깐 지 얼마 되지 않아 오일이 표면으로 올라올 수 있다.”고 말했다. 연습 레이스와 23일 예선을 거친다고 하지만 몇 년씩 달려본 외국 대회 코스보다 훨씬 생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낯선 코스 자체가 하나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날씨도 변수다. 결선 레이스가 열리는 24일 새벽부터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있기 때문이다. ‘F1 황제’ 미하엘 슈마허(독일·메르세데스)도 “비가 온다는 소식이 있어 이번 대회는 변수가 크다.”고 내다봤다. 가뜩이나 미끄러울 것으로 보이는 서킷에 비까지 내리면 뜻밖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대회 운영법인 KAVO 김재호 부장은 “만일 비가 온다면 드라이버의 실력이 승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F1은 자동차 경주의 특성상 드라이버의 기술과 차체의 성능에 따라 승부가 갈리는 경우가 많다. 노면에 변수가 커지면 그만큼 드라이버의 기술에 따라 순위가 정해질 가능성이 커진다.

아시아에서 열리는 대회라는 점도 변수다. F1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유럽을 떠나 아시아에서 열리는 대회는 각종 장비의 운송이나 드라이버들의 시차 적응 등 달라지는 점이 많다.

영암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0-10-23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