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선 칸첸중가 등정 못 했다”

“오은선 칸첸중가 등정 못 했다”

입력 2010-12-14 00:00
수정 2010-12-14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악전문웹진 주장… 14좌 완등 또 논란

오은선(44·블랙야크)의 히말라야 8000m급 14좌 완등 기록이 또 논란에 휩싸였다.

세계 산악인들이 권위를 인정하는 인터넷 잡지 ‘익스플로러스웹(이하 엑스웹)’은 특집 기획물에서 “오은선의 칸첸중가 등정을 인정할 수 없고, 여성 최초의 14좌 완등 기록은 에두르네 파사반(스페인)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엑스웹은 고산 등반뿐만 아니라 대양 횡단, 극지 탐험 등 극한 도전 등을 다룬다. 본사는 미국에 있지만, 미국·유럽·아프리카·파키스탄에 대륙별 편집자를 따로 두고 있어 전 세계 산악인 대부분이 구독하고 있다.

엑스웹이 오은선의 14좌 완등을 인정하지 않는 주된 근거는 정확한 꼭대기를 밟지 않았다는 것. 엑스웹은 “오은선이 정상에서 5~10m 아래까지만 갔고 더는 올라갈 곳이 없다며 정상을 밟지 않았기에 등정에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엑스웹은 또 오은선이 거짓말을 한 점도 지적했다. 독일 언론 슈피겔과의 인터뷰에서 오은선이 “정상에 올랐는지 모른다.”고 말한 바 있으나 말을 바꿨고, 언론에 배포한 칸첸중가 등정 사진은 원본과 달리 여섯 군데가 수정돼 있었다는 것.

그러나 이 기획물을 게재한 고산등반 편집장 안젤라 베나비데스는 파사반과 친분이 있는 스페인 산악가 출신이다. 기사의 객관성이나 중립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산악인들 사이에서 가장 권위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엘리자베스 홀리 여사가 운영하는 히말라얀 데이터베이스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은선의 칸첸중가 등정은 ‘논란’으로 표기돼 있지만, 실패가 증명될 때까지는 성공으로 간주한다.

또 개인으로서 발언에 상당한 귄위를 인정받는 이탈리아 산악인 라인홀트 메스너도 오은선의 칸첸중가 등정을 지지하고 있다. 그는 히말라야 8000m급 14좌를 처음으로 완등하고 이 가운데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최초로 무산소로 등정한 산악계의 신화다. 메스너는 최근 엑스웹과의 인터뷰에서 “5~10m 아래까지 올라간 것은 등정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0-12-14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