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주경기장 병풍 삼아 몰입형 전용구장 구현
‘관중 5천명 초과 사절. 무료입장권 없음. 관중석과 필드의 거리는 8m.’”옆 관중의 함성과 가까이서 펼쳐지는 선수들의 생생하고 빠른 움직임에 신선한 자극을 받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서울 이랜드FC 홈구장 ‘레울파크’
서울 이랜드가 홈구장은 서울에서 가장 큰 체육시설인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이다.
주경기장은 7만명이 넘는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시설이다.
서울 이랜드는 1988년 하계 올림픽 개회식이 열린 넓은 주경기장의 한복판에 작은 축구장을 새로 지었다.
방으로 된 관람석(박스 스위트)이 들어갈 가건물을 골대 뒤에 설치하고 필드 측면에 좌석 5천석을 새로 만들었다.
관중석과 필드의 거리는 겨우 8m로 선수들의 거친 숨소리가 들릴 정도로 유지됐다.
박스 스위트도 골라인에서 겨우 10m 떨어질 정도로 가깝게 설치됐다.
주경기장의 7만여 거대 관중석은 일절 사용되지 않는다.
원래 관중석은 전용 축구장으로 설계된 이랜드의 미니 구장을 병풍처럼 둘러쌌다.
오히려 미니 구장이 돋보이고 관중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도 기대된다.
김태완 서울 이랜드 단장은 25일 경기장 공개행사에서 “전용구장의 느낌을 살리려고 했다”며 “관중 몰입도가 최우선으로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선수들의 빠른 움직임을 코앞에서 지켜보면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실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은 항상 이랜드의 홈구장인 레울파크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구장은 서울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가 운영하는 경기장으로 육상 경기나 각종 공연 등에도 활용된다.
따라서 레울파크의 좌석이나 박스 스위트는 수시로 철거할 수 있는 임시 시설로 지어졌다.
레울파크는 서울의 다른 어떤 축구장보다 유동 인구가 많은 잠실에 있어서 때에 따라 많은 관중이 몰려들 수 있다.
하지만 서울 이랜드는 올 시즌 입장권을 5천장 이상 팔거나 무료 관중을 일절 들이지 않기로 했다.
김태완 단장은 “경기 전에 언제라도 오면 자리가 있다는 메시지를 주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입장권의 가치, 프로축구의 가치를 지켜가기 위해 미리 입장권을 확보하지 않으면 자리가 없다는 메시지를 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 이랜드는 경기 날에 지하철 잠실종합운동장역 7번 출구에서부터 경기장으로 향하는 대로에 고적대를 동원하기로 했다.
관중이 흥분도를 높여가며 경기장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게 목적이다.
유럽 빅리그에서는 경기장으로 가는 길이 축구 경기의 일부인 하나의 의식으로 여겨진다.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집단 행진은 관중의 기대, 설렘을 증폭해 경기를 보는 재미를 높이곤 한다.
서울 이랜드는 오는 29일 정오에 레울파크에서 안양FC와의 프로축구 K리그 챌린지(2부 리그) 홈 개막전을 펼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