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 도시 1곳 적시서 여러 도시로 확대…2032년 대회 개최지 일찍 결정될 수도

로잔 신화통신 연합뉴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27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제134차 IOC 총회 도중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로잔 신화통신 연합뉴스
로잔 신화통신 연합뉴스
올림픽 전문 매체 ‘인사이드 더 게임즈’는 이날 “IOC가 점점 발생하는 올림픽 유치 포기 사태를 막고 올림픽 정신을 계속 이어 나가기 위해 ‘7년 전 결정’ 조항을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IOC는 한 차례 예외적으로 규정을 완화한 적이 있다. 2028년 대회 개최지인 미국 로스앤젤레스가 11년 전 결정된 바 있다. 2024년 올림픽 유치 경쟁 과정에서 여러 도시가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포기하고 프랑스 파리와 LA 두 도시가 맞붙자 IOC는 2017년 9월 총회에서 파리를 2024년 대회 개최지로, LA를 2028년 개최지로 동시 확정했다.
‘7년 규정’이 사라지면서 서울과 평양이 공동 개최 의사를 밝힌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지 결정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주목된다. 인도, 인도네시아, 독일, 호주, 이집트 등이 유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2032년 대회는 당초에는 7년 전인 2025년 총회에서 개최지가 결정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번 규정 삭제로 더 이른 시기에 발표될 가능성도 크다.
남북 공동 개최와 관련, ‘7년 규정’ 변경은 국내에서도 불거진 적이 있다. 지난해 안민석 의원은 제133차 부에노스아이레스 총회를 앞두고 “2032년 남북공동올림픽 개최를 위해선 규정보다 4년 앞당긴 2021년에 개최지를 선정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아울러 이번 총회에서 2026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이탈리아 밀라노와 코르티나담페초가 결정된 것처럼 한 나라 혹은 지역 내 여러 도시의 분산 개최가 서울·평양 공동 개최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9-06-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