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광주구장 매진행렬의 씁쓸한 뒷맛

[스포츠 돋보기] 광주구장 매진행렬의 씁쓸한 뒷맛

입력 2013-06-03 00:00
수정 2013-06-03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로야구 KIA는 올 시즌 관중 동원에서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다. 지난해 67차례 치른 홈 경기 중 12경기가 매진된 반면 올해는 24번째 홈 경기가 열린 지난 1일까지 벌써 10경기째 매진 사례에 즐거운 비명을 질렀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 홈 경기에 50만 2016명이 찾은 것으로 미뤄 볼 때 경기당 평균 7493명을 거뜬히 넘어설 전망이다. 올해는 24차례 홈 경기에 24만 3952명이 들어 벌써 경기당 평균 1만명을 넘어섰다. 2일 1만 103명으로 이틀 연속 만원 사례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KIA 구단의 시즌 관중 목표 60만 달성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매진 열풍의 뒤에는 관중을 1만 2500명밖에 모실 수 없는 무등경기장 야구장의 ‘불편한 진실’이 숨어있다. 다른 8개 구단에 훨씬 앞서는 뜨거운 ‘팬심(心)’을 담을 그릇이 터무니없이 작은 것이다.

현 구장 좌측 담장 뒤쪽에 내년 1월 완공을 목표로 들어서고 있는 새 구장은 지하 2층, 지상 5층의 구조물이 웅자를 드러낸 상태다. 2만 2102개의 좌석이 들어가면 빛고을의 야구 사랑을 더 많이 담을 수 있다.

분명 야구 문화의 큰 진전인데 속내를 들여다보면 아쉬운 대목도 적지 않다. 여느 구장과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가 건설을 주도하니 그 운용과 관리 책임도 여전히 지자체의 몫으로 남는다.

당연히 구단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프로야구의 관중 수입은 1993년부터 지금까지 홈팀이 72%, 원정팀이 28%를 나눠 갖고 있다. 홈팀은 국민체육진흥공단에 5%, 지자체에 구장 사용료로 24%를 떼어줘야 하니 손에 쥐는 건 43%밖에 되지 않는다. 새 구장의 취재기자석으로 배정된 공간에는 큰 기둥이 버티고 있다. KIA는 다른 곳으로 옮겨 달라고 광주시에 요청하고 있다고 한다. 미디어의 중요성을 잘 아는 구단이 이런 대목까지 시의 눈치를 봐야 한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구단이 구장 신축을 주도해 경기장 시설에 붙이는 광고 사업권도 갖게 되는 날은 언제나 올까. 현 구장의 외야 담장 뒤쪽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 광주시의 광고판을 바라보다 땡볕 아래 늘어선 예매 행렬을 돌아보니 가슴 한편이 답답해진다.

광주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3-06-03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