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황재균 빈볼 2번 맞고 벤치 클리어링
구기종목 공 중 작은 편인 야구공은 지름이 약 7㎝, 무게가 140g에 불과하다. 그러나 골프공 다음으로 단단해 몸에 맞을 경우 충격이 상당하다.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속 140㎞ 이상의 공을 타자가 맞으면 순간적으로 약 80t에 달하는 압력을 받는다. 1920년 메이저리그에서는 헬멧을 쓰지 않은 타자가 머리에 공을 맞아 사망했고, 1955년 국내 고교야구에서도 같은 사건이 있었다.투수도 사람인 만큼 실수할 수 있지만 가끔은 일부러 타자를 맞히기도 한다. 상대방이 매너에 어긋나는 플레이를 하면 고의로 공을 맞혀 경고하거나 보복한다. 특히 타자 머리 쪽으로 향하는 위협구는 ‘빈볼’(bean ball)로 불리는데, 미국에서 ‘bean’이 사람 머리를 가리키는 속어로 널리 쓰였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머리뿐 아니라 타자 몸쪽으로 향하는 전반적인 위협구를 빈볼이라고 부른다.
지난 12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KBO리그 롯데-한화전에서 일어난 올 시즌 첫 벤치 클리어링은 빈볼 시비가 발단이었다. 4회 몸 맞는 볼로 출루한 황재균(롯데)이 5회에도 이동걸(한화)의 3구에 엉덩이를 가격당하자 흥분한 롯데 선수들이 모두 뛰쳐나왔다.
이종운 롯데 감독은 경기 후 “무슨 의도로 그랬는지 알고 있다. 앞으로는 가만있지 않겠다. 야구로 승부하자”며 이례적으로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한화 벤치에서 빈볼을 지시했다고 본 것이다.
김성근 감독과 한화 측은 “고의가 아니다. 투수 제구력이 흔들린 것”이라며 물러섰지만 당시 정황을 보면 빈볼로 볼 여지가 많다. 당시 한화는 1-15로 크게 뒤져 자존심이 상해 있었고, 이동걸이 초구와 2구에도 황재균의 몸쪽 깊은 곳으로 공을 던졌기 때문이다. 황재균이 1회 7-0으로 앞섰음에도 3루 도루를 시도해 불쾌감을 느꼈을 수 있다.
그러나 두 차례 연속 특정 선수를 맞힌 것은 야구 관계자들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이날 중계를 맡은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진 역시 “이건 좀 아니다”라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김 감독 부임과 함께 끈끈한 플레이로 많은 팬들의 인기를 얻고 있는 한화의 빈볼은 큰 아쉬움이 남는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5-04-1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