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혹독기 ‘SMART’족 뜬다

저성장 혹독기 ‘SMART’족 뜬다

입력 2013-01-30 00:00
수정 2013-01-30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B경영硏 “금융소비자 깐깐·꼼꼼하게 변신”

저금리, 저성장, 고령화와 같은 혹독한 경제환경에 금융소비자들은 깐깐하고 꼼꼼하게 변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9일 올 한 해 동안 금융시장의 환경과 인기상품, 투자성향 등을 토대로 금융소비자를 분석한 결과 ‘S.M.A.R.T’를 새로운 트렌드로 제시했다.

연구소는 금융소비자들이 상품을 까다롭고 꼼꼼하게(Strong need for more) 따지게 됐다고 분석했다. 금리나 수익률, 부가혜택과 같이 상품성 자체에 대해 고려한다는 것이다. 위험관리와 수익을 함께 추구(Managing risk & return)하는 것도 요즘 금융소비자들의 특징이다. 주가연계증권(ELS), 파생결합증권(DLS) 등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졌다.

세금과 정책 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Active response to policy)도 새로운 경향이다. 지난해 즉시연금 등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중단한다는 세제 개편안이 발표되자 즉시연금 하루 평균 계약건수가 3배까지 증가한 게 대표적인 예다. 주택연금 가입이 증가하는 등 미래를 대비한 자립형 노후준비(Ready for retirement)가 활성화된 점, 금융회사의 공공성이나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커진 점(Trustworthy finance)도 눈여겨볼 만한 흐름이다.

노현곤 KB경영연구소 팀장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외부환경 속에서 금융소비자들은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똑똑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1-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