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해킹 공격 관련 주요 일지

3.20 해킹 공격 관련 주요 일지

입력 2013-04-10 00:00
수정 2013-04-10 1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주요 방송사와 일부 금융사의 전산망이 동시에 마비된 3.20 해킹 사건은 북한의 소행인 것으로 10일 밝혀졌다. 3.20 사이버 테러의 발생에서부터 정부의 조사결과 발표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짚어본다.

▲3.20 = 오후 2시께 KBS·MBC·YTN 등 3개 방송사와 신한·농협·제주은행 등 3개 은행, NH생명보험·NH 손해보험 등 2개 보험사 전산망에서 동시다발적 장애 발생. PC 4만8천여대 손상.

방통위 “해킹에 의한 악성코드 유포 가능성” 발표.

정부, 사이버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

국방부, 군 정보작전방호태세 ‘인포콘’(INFOCON)을 4단계(증가한 군사경계)에서 3단계(향상된 준비태세)로 격상.

▲3.21 = 정부 합동대응팀 “악성코드, 중국서 유입” 발표

▲3.22 = 정부 합동대응팀 “해킹 악성코드, 중국 아닌 국내에서 전파”

▲3.25 = ‘날씨닷컴’ 홈페이지 통한 무차별 악성코드 유포…개인PC 수백대 감염

▲3.26 = 지방자치단체 통합전산센터,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YTN 및 계열사 홈페이지, 탈북자 단체인 ‘자유북한방송’과 대북 인터넷 매체인 ‘데일리NK’ 홈페이지 등 동시다발 전산마비

▲4.3 = 정부 합동대응팀, 피해 서버·PC에서 총 60종의 악성코드 발견

▲4.10 = 정부 합동대응팀 조사결과 발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