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업계 “우체국 판매 환영…효과는 두고봐야”

알뜰폰업계 “우체국 판매 환영…효과는 두고봐야”

입력 2013-05-14 00:00
수정 2013-05-14 15: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래창조과학부가 9월부터 전국 우체국을 알뜰폰(MVNO) 유통 채널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알뜰폰 업체들은 일단 환영하면서도 정책의 실효성을 판단하려면 좀 더 지켜봐야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동통신사에 비해 오프라인 유통망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홍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전국 각지에 있는 우체국을 통해 소비자들과 만날 수 있는 접점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환영하고 나섰다.

주요 7개 알뜰폰 사업자의 판매점은 408개로 이통 3사(2만여개)의 0.2%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전체 이동통신시장에서 알뜰폰이 점유하는 비율은 3% 수준에 불과하다.

CJ헬로비전 관계자는 14일 “알뜰폰 업체들이 오프라인 채널이 충분치 않다 보니 알뜰폰을 알리는데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우체국 판매가 가능해지면 시장 활성화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링크 관계자도 “우체국에 입점할 수 있다면 도움이 되기는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행 방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여서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과거 방송통신위원회가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놨으나 후속 정책의 부재로 큰 도움이 못된 전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업체 관계자는 “방통위도 알뜰폰을 활성화하겠다며 여러 정책을 내놨지만 정권 교체 등과 맞물리면서 제대로 시행이 안돼 결국 흐지부지 끝났다”면서 “일회성 정책이라면 큰 의미가 없다”고 꼬집었다.

우체국에 입점한 알뜰폰 업체와 아닌 업체간 양극화 가능성도 업체들의 우려 사항으로 떠올랐다.

가뜩이나 업계가 수익을 내지 못한 채 고전하는 상황에서 우체국 입점을 통해 전국적인 판매망을 갖춘 업체는 유리한 입지를 점하게 되겠지만 그렇지 못한 업체는 더욱 고립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관계자는 “우체국에 들어가느냐 못들어가느냐에 따라 사업자 간 격차가 생길 수 있다. 못들어간 사업자는 더 힘들어지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겠느냐”고 걱정했다.

우체국 판매 외의 다른 지원책이 없는 것에 대한 아쉬움도 내비췄다.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알뜰폰 활성화에 대한 의지가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이나 세제 지원처럼 좀 더 구체적인 지원책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