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을 돕는 CJ도너스캠프가 지난 9월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CGV청담씨네시티에서 개최한 꿈키움 창의학교 3기 입학식에서 학생들이 깜찍한 포즈로 사진을 찍고 있다. CJ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소외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을 돕는 CJ도너스캠프가 지난 9월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CGV청담씨네시티에서 개최한 꿈키움 창의학교 3기 입학식에서 학생들이 깜찍한 포즈로 사진을 찍고 있다. CJ그룹 제공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2011년 경영 계획 워크숍에서 이렇게 말했다. 사정이 어렵지만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은 기업이 반드시 도와 가난의 대물림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 이 회장의 오랜 생각이었다. CJ는 2005년과 2006년 세운 CJ나눔재단과 CJ문화재단을 통해 젊은이의 꿈을 키우는 지원 사업을 펼쳤다.
올해 설립 10년을 맞은 CJ도너스캠프는 ‘꿈키움 창의학교’를 운영한다.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멘토링 교육이다. 끼와 재능이 있는 청소년의 문화 창작 활동을 지원해 인재를 키우는 것이 목적이다. 지난 2년간 모두 300여명의 학생이 참여했고 요리, 음악, 공연, 방송, 쇼핑 분야의 전문가인 계열사 임직원과 대학 교수진 26명이 전문가 멘토로 나섰다.
CJ문화재단은 대중문화예술계의 젊은 창작자를 돕고 있다. 대한민국 문화 콘텐츠 기반을 다지고 이를 한류로 연결시키는 문화 연구·개발(R&D) 역할에 나섰다.
신인 음악가를 지원하는 ‘튠업’, 신인 스토리텔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S’, 뮤지컬과 연극 분야의 신인 공연 창작자를 돕는 ‘크리에이티브마인즈’가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문화재단은 2009년 6월 서울 홍대 근처 광흥창에 CJ아지트를 열었다. 음악, 영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연극 등 여러 예술 분야의 유망한 인재들이 자유롭게 끼를 발산할 수 있는 공간이다. 선배 예술인들이 조언을 해 주고 작품을 단계별로 발표하는 쇼케이스를 선보이며 완성된 작품은 더 큰 무대에 소개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5-11-26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