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이익 늘고 매출은 줄어…‘불황형 흑자’

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이익 늘고 매출은 줄어…‘불황형 흑자’

입력 2016-03-31 13:45
수정 2016-03-31 1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영업익 102조원으로 14%↑…매출은 1천639조원으로 3%↓

지난해 유권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들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늘어났지만 매출은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업의 장사가 잘돼서라기보다는 원자재 값이 떨어진 가운데 허리띠를 졸라매며 비용감축 노력을 기울인 끝에 올린 ‘불황형 흑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31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유가증권 시장(코스피)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516곳(비금융)의 연결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전체 영업이익은 102조2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4.22% 늘었다.

순이익(63조6천억원)도 3.05% 증가했다.

그러나 매출액은 1천639조원3천억원으로 3.01% 감소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전년도 5.29%에서 지난해 6.23%로, 매출액 순이익률은 3.65%에서 3.88%로 각각 상승하는 등 수익성은 개선됐다.

매출에서 12.24%의 비중을 차지한 삼성전자를 빼고 봐도 영업이익(75조8천억원)과 순이익(44조5천억원)은 각각 17.59%, 16.22% 증가한 반면에 매출(1천438조6천억원)은 3.06% 감소했다.

외형은 줄고 수익성은 비교적 괜찮은 ‘불황형 흑자’의 모습이 뚜렷했던 셈이다.

유승민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상장사들의 이익은 일단 2014년을 바닥으로 개선되는 추세”라며 “그러나 이익 증가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값 하락 요인이 크고 여기에 구조조정 등 기업들의 허리띠 졸라매기가 더해진 결과”라고 평가했다.

연결 기준 분석대상 상장사 516곳의 작년 말 현재 자산은 2천137조6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4.17% 늘었고 부채(1천180조3천억원)는 2.42%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전년 말의 128.10%에서 작년 말에는 123.30%로 낮아졌다.

분석 대상 506곳 중 당기순이익 적자기업은 적자 전환 50곳을 포함해 119곳(23.06%)이고 흑자기업은 흑자전환 60곳 등 총 397곳(76.94%)으로 집계됐다.

개별(별도) 기준 재무제표 기준 실적을 봐도 양상은 비슷했다.

이번에 분석 대상이 된 636곳의 개별 기준 영업이익(61조6천억원)과 순이익(48조3천억원)은 각각 전년보다 10.36%와 14.91% 늘었지만 매출(1천59조5천억원)은 3.86% 감소했다.

삼성전자를 빼고 보면 매출이 4.13% 줄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5.06%, 31.42%나 늘었다.

금융업종 41개사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12.5%와 13.7% 증가했다.

특히 증권업종은 순이익이 160.2%나 늘었다.

한편 거래소와 코스닥협회가 집계한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 698곳의 연결재무제표를 보면 매출액은 130조원으로 전년보다 6.35% 늘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7조원과 3조8천억원으로 각각 8.66%, 2.74% 증가했다.

분석대상 기업 중 503곳(72.07%)은 흑자였고 195곳(27.93%)은 적자를 기록해 10곳 중 약 3곳꼴로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재무제표를 낸 980곳의 작년 매출액(109조7천억원)은 전년보다 2.52% 늘고 영업이익(6조3천억원)은 5.99% 증가했다.

그러나 순이익은 3조7천억원으로 외환차손, 대손상각비, 자산처분손실 등의 영향으로 10.23% 감소했다.

코넥스 시장 95곳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2조3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6% 늘고 영업이익(659억원)과 순이익(71억원)은 각각 28.9%, 43.3% 감소했다.

95개사 가운데 59곳은 흑자, 36곳은 적자였다.

고광민 서울시의원 “생활체육은 지역 주민 건강 증진 위한 투자”

서울시의회 고광민 의원(국민의힘, 서초3)은 지난 19일 동덕여중·고 체육관에서 열린 ‘2025년 7월 배우리클럽 월례대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배드민턴 경기를 함께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동호회 회원 60여 명이 참가해 경기를 치르며 화합을 다졌다. 평소 지역 동호회 활동을 통해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해온 고 의원은 이날 대회에서 체육관 시설 개선 등 생활체육 환경 조성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동호회 회원들로부터 감사패를 전달받았다. 고 의원은 “주민들과 함께 땀 흘리며 운동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면서 “앞으로도 이런 자리를 통해 주민들과 가까이 소통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고 의원은 “주민 건강을 지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가 생활체육 참여 확대”라며 “의료복지 정책만큼이나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하고 참여기회를 넓히는 것이 주민 건강 증진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고 의원은 “동덕여중·고를 비롯해 관내 학교 체육관 시설 개선을 통해 생활체육 인프라 확충에도 꾸준히 노력해오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주민들이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thumbnail - 고광민 서울시의원 “생활체육은 지역 주민 건강 증진 위한 투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