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8명 “스마트폰 없으면 괜히 불안”

성인 10명 중 8명 “스마트폰 없으면 괜히 불안”

입력 2016-07-22 11:30
수정 2016-07-22 1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천명 설문 조사…젊을수록 디지털 기기 의존도 높아

성인 10명 중 8명은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리서치 전문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 만19~5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7.7%가 집이나 직장에 스마트폰을 두고 나오면 괜히 불안하다고 답했다. 디지털 의존도가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불안감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전체의 절반 이상(54.1%)은 다른 사람들과 있을 때도 시간이 생기면 스마트폰을 만진다고 답했다. 4명 중 1명(25.4%)은 대화를 하면서도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디지털 기기를 놓지 않았다.

별 목적 없이 습관적으로 인터넷을 한다는 응답자도 72.3%에 달했다.

디지털 기기로 주로 하는 활동은 메신저(76%, 중복응답), 뉴스 소비(61.7%), 쇼핑(51.3%) 순이었다. 중·장년층은 뉴스 소비, 20대는 SNS와 음악감상이 많았다.

설문 항목을 통한 디지털 기기 의존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절반(51.3%)이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령대별 의존도는 20대 65.2%, 30대 50%, 40대 44.4%, 50대 45.6%로 젊은 층일수록 의존도가 높았다. 의존도는 “디지털 기기에 중독된 것 같은 느낌이 들곤 한다” “디지털 기기가 없으면 못 살 것 같다” 등 4개 항목 가운데 2개 이상을 택한 비율로 산정했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상황은 ‘누군가를 기다릴 때’(94.9%)가 가장 많았고, ‘휴식을 취할 때’(87.1%)와 ‘차를 타고 이동할 때’(84.4%)가 뒤를 이었다.

누워서 잠들기 전에 사용한다는 응답자도 81.7%에 달했다. 10명 중 6명(64.1%)은 화장실에서 볼일을 볼 때도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에 따른 문제점도 나타났다.

응답자의 65.9%는 “가족 및 친구와 대화시간이 줄어드는 것 같다”고 답했다. 정보 검색에 의존하는 비중이 늘면서 전체 2명 중 1명(49.2%)은 스스로 결정하는 일이 줄어드는 것 같다고 느꼈다.

응답자의 85.0%는 “우리 사회의 디지털 기기 의존도가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연령대별 인식은 비슷했지만, 남성(78.8%)보다는 여성(91.2%)이 디지털 기기 의존도에 대한 우려가 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