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지나도 하늘에 붙은 물가…배추·무·당근 평년의 2배

설 지나도 하늘에 붙은 물가…배추·무·당근 평년의 2배

입력 2017-02-04 10:36
수정 2017-02-04 1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계란도 불과 3.4% 떨어져…정부의 물가억제 조치 효과 약해

지난해 말부터 치솟았던 농축산물 장바구니 물가가 성수기인 설이 지난 지 1주일이 지났지만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정부가 계란 수입, 배추·무 등 정부 비축 물량 공급 등으로 물가 억제에 나섰지만 효과가 없는 셈이다.

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통계(KAMIS)에 따르면 3일 기준 배추(한 포기 상품·3천990원) 가격은 설 직전인 지난달 26일(3천987원)과 비교해 오히려 0.08% 더 올랐다. 여전히 평년(2천95원)의 두 배(90.5%↑) 수준이다.

양배추(한 포기 상품·5천83원)도 설 전보다 2.3% 정도 더 비쌌다. 평년(2천736원)보다 85.8%나 오른 상태다.

당근(무세척 상품 1㎏·5천694원)은 1.5% 떨어졌지만, 아직 평년의 2.3배(128.9%↑)에 이르고 2.8% 하락한 무(한개 상품·2천460원)도 여전히 평년의 두 배(88%↑) 수준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다.

마늘(깐마늘 국산 1㎏·1만419원), 양파(1㎏ 상품·2천294원)는 설 이후 각각 4.1%, 6% 더 뛰었고, 대파(1㎏ 상품·3천713원)의 경우 불과 0.9% 떨어졌을 뿐이다. 이들 양념류 채소들은 현재 평년보다 각각 42.7%, 21.6%. 39.5% 비싸다.

채소류 가운데 설 이후 가격이 눈에 띄게 떨어진 것은 각각 19.9%, 17.1% 하락한 애호박(한 개 상품·1천657원)과 딸기(100g 상품·1천306원) 정도뿐이다.

축산물 물가도 좀처럼 안정되지 않고 있다.

한우 갈비(100g 1등급·4천900원)와 한우 등심(100g 1등급·7천613원)의 설 이후 하락 폭은 각각 2.5%, 0.2%에 그쳤다. 여전히 평년보다는 13.4%, 13.9% 높다.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급등한 계란(특란 30알 중품·8천596원)은 미국산 등 계란 수입에도 불구, 1주일 전보다 불과 3.4% 하락했을 뿐이다. 평년보다 52.6% 비싼 것으로, 좀처럼 가격이 안정되지 않고 있다.

명태(냉동 한 마리 중품·2천410원)는 설을 지나 2.9% 더 올랐고, 물오징어(한 마리 중품·3천339원)와 굴(1㎏ 상품·1만6천529원)은 1.2%, 7.2%씩 떨어졌다. 하지만 아직 이들 품목의 가격은 평년보다 16.2%, 25.1%, 16.3% 비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