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55%↑…농산물 생산자물가 6년11개월래 최대폭 상승

배추 55%↑…농산물 생산자물가 6년11개월래 최대폭 상승

입력 2017-09-19 09:49
수정 2017-09-19 09: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생산자물가 0.3%↑, 두 달 연속 올라…달걀값은 하락

지난달에도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생산자물가가 오름세를 나타냈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 잠정치는 102.20(2010=100)으로 7월보다 0.3% 올랐다.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준다.

생산자물가는 지난 7월 0.1% 오른 데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특히 농산물 가격이 뜀박질했다.

지난달 농림수산품은 4.5% 올랐고 이 가운데 농산물은 14.2%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농산물 상승률은 2010년 9월(18.8%) 이후 6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망이 한 달 사이 190.9% 올랐고 토마토는 102.1%, 배추는 55.3% 급등했다.

권처윤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농산물가격이 오른 요인은 기후”라며 “8월에 폭염이 심했고 비가 많이 왔기 때문에 출하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농산물 생산자물가를 지난 6월과 비교하면 두 달 사이 23.7% 높아졌다.

1년 전인 작년 8월보다 4.3% 올랐다.

농산물 가격이 뛰면 소비자뿐 아니라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농산물과 달리 축산물 가격은 지난달 2.5% 내렸다.

닭고기가 12.9%, 달걀이 13.9% 각각 떨어졌다.

한은은 ‘살충제 달걀’ 파문으로 달걀 수요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달걀 가격은 올해 초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로 공급량이 줄면서 작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산물은 1.8% 떨어졌다.

게(-31.0%), 냉동꽃게(-19.5%), 물오징어(-5.7%)의 하락 폭이 컸다.

공산품은 전월 대비 0.3% 올랐다.

공산품 생산자물가가 오르기는 지난 2월(0.5%) 이후 6개월 만이다.

석탄 및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상승에 맞춰 3.2% 올랐고 제1차금속제품도 0.6% 상승했다.

세부 품목을 보면 나프타가 9.3%, 휘발유가 5.9% 각각 올랐고 고철이 12.1% 상승했다.

반면, 음식료품은 0.1% 떨어졌고 전기 및 전자기기는 0.3% 내렸다.

권처윤 팀장은 “앞으로 농산물 가격이 안정되면 공산품이 물가를 주도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비스 부문 생산자물가는 7월과 같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음식점 및 숙박(0.3%)과 운수(0.1%), 부동산(0.1%)이 올랐지만, 금융 및 보험은 1.9% 하락했다.

지난달 중소 규모의 카드 가맹점에서 수수료율이 낮아진 점이 금융 및 보험업 생산자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생산자물가는 작년 8월에 비해선 3.2% 올랐다. 전년 동월대비로 10개월 연속 상승세다.

지난달 상품 및 서비스 가격 변동을 가공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7.06으로 7월보다 0.2% 올랐다.

수출품까지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98.51로 0.3% 상승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