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 DB
서울 종로구 광화문 네거리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사람인이 직장인 638명을 대상으로 조기퇴사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가 ‘입사 1년 이내 퇴사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조기퇴사를 결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잦은 야근 등 열악한 근무환경’(41.3%, 복수응답)이었다. 이어 ‘낮은 연봉’(36.2%), ‘입사 전 생각했던 회사와 다름’(33.9%),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29.9%), ‘대인관계, 기업문화 등 부적응’(23.1%), ‘높은 업무 강도’(22.8%)등이 뒤를 이었다.
조기퇴사한 직장인 가운데 절반은 동일직무로 이동(50.1%)했지만,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직무 변환’(45.9%)을 한 이들도 많았다.예전처럼 10년 이상 한 회사에 잇는 것을 선호하지도 않았다. 응답자의 77.4%는 커리어를 위해 한 직장에서 필요한 근속연수는 평균 3년 이상이면 충분하다고 봤다.
또 대부분이 조기퇴사 현상은 오히려 긍정적(61.8%)이라고 생각했다. 버티고 시간을 낭비하느니, 빨리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조기퇴사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 1위도 ‘안 맞는 일은 빨리 바꾸는 게 나아서’(68.8%, 복수응답)를 꼽았다. 계속해서 ‘시간낭비 할 필요 없어서’(52.5%), ‘평생직장 개념이 없어지는 추세라서’(42.6%), ‘어차피 직장생활을 오래 할 생각이 없어서’(4.6%), ‘향후 경력관리에 큰 문제 없어서’(3.8%)의 이유가 있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