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고 자주 깜빡깜빡, 나도 혹시 ‘치매?’…대안은?

나이 들고 자주 깜빡깜빡, 나도 혹시 ‘치매?’…대안은?

입력 2023-02-13 11:27
수정 2023-02-13 1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나이가 들면 주소, 전화번호 등을 깜빡할 때가 많아진다. 나도 모르게 치매를 의심하게 되지만, 의학계에 따르면 치매와 건망증은 전혀 다른 질환이다.

‘건망증’은 기억력만 감퇴할 뿐, 인지력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반면 ‘치매’는 공간 지각력, 계산 능력, 판단 능력 감퇴 등을 동반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인구 가운데 75만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2039년에는 200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는 완치가 어렵다. 발병 시기,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게 최선이다. 예방은 치매를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그러려면 치매가 무엇인지 알고, 치매에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

치매는 뇌의 문제다. 뇌 기능 감퇴를 막아야 치매 위험도 낮아진다. ‘뇌 체조’는 두뇌 구석구석을 자극함으로써 뇌 기능을 지켜주는 프로그램이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5%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가 노년층에 접어들면서 두뇌 훈련 관련 시장도 커지고 있다. 미국 과학잡지 라이브 사이언스에 따르면 글로벌 두뇌 훈련 시장 규모는 2020년 6조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TJ미디어에 따르면 이 회사가 최근 출시한 프리미엄 올인원 이동식 노래방 M2에는 시니어 맞춤형 두뇌 건강 체조 기능이 탑재됐다. 김소영 의정부시체육회 생활체육지도사가 자문을 맡은 이 체조는 노년층이 앉아서 따라 할 수 있을 만큼 쉽고 재밌게 구성됐다.

이 밖에도 ‘제2의 뇌’로 불리는 손과 두뇌 간 상호 작용을 이용해 뇌를 활성화함으로써 뇌 기능, 학습,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됐다.

티제이미디어 관계자는 “M2는 자사 노하우를 집약해 시니어 눈높이에 맞춰 개발한 제품”이라며 “경로당, 복지관 등 시니어들이 많이 찾는 곳에 최고의 선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