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투자은행 “한국 올 1% 성장 위태… 내년 2%도 어려워”

주요 투자은행 “한국 올 1% 성장 위태… 내년 2%도 어려워”

강신 기자
입력 2023-04-06 18:27
수정 2023-04-07 0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개 글로벌 투자은행 진단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 1.1%
내년 성장률은 0.1%P 하락한 2%
물가 3%대… 내년 2% 하회 예상
AMRO “반도체 약화 고려 1.7%”

이미지 확대
한국 경제가 올해 1% 성장조차 위태롭다고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IB)이 전망했다. 내년에도 2%대 복귀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바클레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 씨티, 골드만삭스, JP모건, HSBC, 노무라, UBS 등 8개 외국계 IB가 지난달 말 기준 보고서를 통해 밝힌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1%다.

8개 투자은행 중 HSBC가 우리 경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2%에서 지난달 1.0%로 0.2% 포인트 낮췄다. 6개 기관이 1%대를 예상한 가운데 씨티는 우리 경제가 올해 0.7%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노무라는 역성장(-0.4%)할 것으로 예측했다. 추가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기관이 나오면 1%를 밑돌 가능성도 있다.

이들 8개 투자은행의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2월 말 2.1%에서 지난달 말 2.0%로 0.1% 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골드만삭스가 2.8%에서 2.7%로, HSBC가 1.9%에서 1.6%로 전망치를 내려 잡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나 한국은행과는 시각차가 있다. 한은은 지난 2월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1.6%, 내년 전망치로 2.4%를 제시했다. 한은은 우리 경제가 올해 상반기 1.1%, 하반기 2.0% 성장하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인 뒤 내년에는 잠재성장률 수준인 2%대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역시 우리 경제가 올해 1.6% 성장할 것으로 봤다.

이들 투자은행은 우리 경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5.1%에서 올해 3.2%로 떨어진 뒤 내년 1.9%로 하락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2%로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둔화하는 등 물가 오름세가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는 점이 올해 전망치 하향 조정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들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이 지난해 1.7%에서 올해 1.8%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뒤 내년 2.7%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021년 852억 달러에서 지난해 298억 달러로 급감했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 1월 경상수지가 역대 최대인 45억 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아시아를 기반으로 한 국제기구와 은행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 중반 수준으로 낮춰 잡았다.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이날 발표한 ‘2023년 지역경제전망(AREO)’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7%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월 ‘2022년 수정 지역경제전망’을 통해 제시한 1.9%보다 0.2% 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AMRO는 “반도체 등 한국의 약화된 대외 수요에 따른 수출 감소를 고려했다”고 밝혔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지난 4일 발표한 ‘2023년 아시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동아시아국가 가운데 꼴찌 수준인 1.5%로 전망했다.
2023-04-0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