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연휴 땐, 황금같은 앱

황금연휴 땐, 황금같은 앱

입력 2013-05-14 00:00
수정 2013-05-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T ‘올레날씨 2.0’ 생활지수 등 추가 · SK플래닛 ‘봄나들이 도시락 만들기’

이미지 확대
20도를 웃도는 완연한 봄기운이 찾아오면서 한강공원에서 운동을 하거나 주말 나들이를 떠나는 사람이 많아졌다. 특히 오는 17일 석가탄신일부터 시작되는 3일간 황금연휴를 알차게 보내려면 ‘앱(애플리케이션)서핑’ 등 손품을 팔 필요가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날씨, 도시락 레시피, 여행 정보 등을 제공하는 앱이 다양하다. 이동통신사도 기존의 앱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운 봄맞이 앱을 출시하고 있다. 이른 더위에 봄이 훌쩍 가기 전에 봄을 만끽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앱을 소개한다.

날씨부터 챙기는 건 기본. KT의 ‘올레날씨 2.0’은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올레날씨’에 기상특보, 생활지수, 바이오리듬 등 새로운 기능을 더했다. 특히 햇빛의 세기에 따라 피부 보호가 필요한지 알려주는 자외선지수, 외출 시 우산을 갖고 나가야 할지 참고할 수 있는 우산지수, 나들이지수 등 정보가 유용하다.

SK플래닛 T스토어에 등록된 ‘봄나들이 도시락 만들기’는 색다른 도시락을 만들고 싶을 때 활용하면 좋다. 메뉴만 들으면 어려울 것 같지만 단계별로 상세한 레시피가 설명돼 있어 따라하기가 쉽다. 바이크를 즐기는 유저들은 SK플래닛이 출시한 ‘T맵 바이크’가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T맵 바이크는 자전거 주행을 위한 기본 지도와 속도, 주행거리, 소모 열량, 고도를 기록하는 경로 추적 화면을 제공한다. 앱을 통해 주행 중에도 영상과 사진촬영을 할수 있으며 주행기록과 코스 정보를 다른 사람과 교환할 수 있다.

멀리 가지 않고 소풍 기분을 내고 싶다면 서울시의 ‘한강공원’을 추천한다. 한강에서 즐길 수 있는 볼거리, 즐길거리, 먹거리 등의 정보가 쏠쏠하다. 12개 한강공원의 시설물 정보와 공원과 인접한 대중교통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사흘간 황금연휴를 이용해 멀리 나가고 싶은데 막상 어디를 가야 할지 정하지 못했다면 ‘어디 갈까’에서 고민을 해결해보자. 테마별 여행지 검색, 추천 데이트 코스 등 맞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행에 필요한 관광지, 날짜, 위치, 카페나 공연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6일 부천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및 제26회 대한민국오늘문화대상’ 시상식에서 광역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사단법인 대한민국연예예술인연합회(총재 남상숙, 이사장 황계호), 한국언론대표자협의회, 대한모델협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실천해온 인물을 정례적으로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조직위원회는 박 의원이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교통체증 해소, 급수 환경 개선을 비롯해, 교육·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점이 수상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저소득·다문화 아동을 위한 영어교실 출범을 위한 민·관 협력을 주도하고, 장애인 대상 나눔 행사 지원,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동행플라자 유치 등 지역 기반의 사회공헌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 의원은 “2년 연속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곳곳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자원봉사와 사회공헌의 가치를 실천하는 의정활동으로 서울시와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2013-05-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