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커지는 현대차그룹 위기론

점점 커지는 현대차그룹 위기론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5-06-04 23:40
수정 2015-06-05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中 5월 판매량 8~10.3% 줄어 국제금융시장서 주가 하락 지속

현대자동차그룹에 대한 위기론이 커지고 있다.
새 엔진 탑재 현대차 싼타페 더 프라임
새 엔진 탑재 현대차 싼타페 더 프라임 4일 서울 강남구 현대자동차 강남 오토스퀘어에서 모델이 싼타페 더 프라임을 선보이고 있다. 싼타페 더 프라임은 질소산화물을 50% 이상 감축하도록 한 환경부의 유로6 배출가스 규제를 만족시키는 e-VGT R엔진을 탑재했다.
연합뉴스


4일 국제금융시장에 따르면 현대차 주가는 지난 2일 275억 2000만 달러(약 30조 4000억원)를 기록한 데 이어 다음날인 3일 주가가 전일 대비 2.17% 더 떨어지면서 세계 시가총액 500위 밖으로 밀려났다. 지난해 말 현대차는 시가총액이 340억 6000만 달러(약 37조 7000억원)로 337위였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실적 악화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현대차의 지난 1분기 국내외 시장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7%, 기아차는 2.7% 감소했다.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차의 주력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실적 부진 양상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지난 5월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전년 같은 달 대비 10.3% 감소한 6만 3610대 판매에 그쳤다. 올 들어 최저 판매 기록이다. 중국시장 판매량도 신통치 않다. 미래에셋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현대차와 기아차의 중국시장 판매량은 각각 8%와 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의 안방인 내수시장에서도 이미 수입차들의 거센 도전을 받은 지 오래다. 지난 5월까지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량은 9만 5557대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5.5%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현대·기아차의 국내 판매량은 각각 3.6%, 2.8% 감소하면서 오히려 뒷걸음질을 쳤다. 현대차는 지난 1분기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8%, 3.3%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현대차 내부의 위기의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대응 전략이나 비전을 내놓지 못했다는 것이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06-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