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용 vs 수출용 차별 논란에 ‘고객 대상 쏘나타 충돌실험’
약 500m 사이에서 마주 보고 있던 두 대의 쏘나타가 카운트가 끝나자 동시에 출발했다. 시속 56㎞로 달리던 두 대의 차가 “쾅!” 하는 굉음과 함께 충돌하자 이를 지켜보고 있던 300여명의 관객들 사이에선 “아!” 하는 탄성이 터져나왔다.
현대차가 지난 22일 인천 송도 국제업무지구에서 개최한 내수용 및 수출용 쏘나타 정면충돌 실험이 끝난 뒤 관객들이 직접 결과를 살펴보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2일 저녁 인천 송도 국제업무지구에서 쏘나타 고객들을 초청해 국내에서 생산된 내수용 쏘나타와 미국에서 생산된 수출용 쏘나타의 정면충돌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소가 아닌 야외에서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 같은 충돌 실험을 실시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현대차 측은 설명했다.
실험에 쓰인 차는 자동차 전문 블로거 ‘마대빠더’로 활동 중인 이대환씨와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가 한국 아산공장과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서 각각 선택해 가져온 쏘나타 2.0 터보 모델이었다.
충돌한 두 차량은 앞 바퀴 앞쪽의 형체가 완전히 사라질 만큼 반파됐지만 운전석에 앉은 더미(실험용 인체 모형)는 별다른 이상이 없는 모습이었다. 현장에서 실험을 함께 진행한 김 교수는 “사고 시 가장 중요한 A필러(앞 유리창과 앞문 사이 지지대)가 손상이 없었고 운전석·조수석·무릎 에어백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며 “더미의 상태로 봤을 때 탑승자들도 가벼운 부상을 입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험 후 현대차는 국토교통부 정면충돌 평가항목 중 상해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내수용과 수출용 모델 모두 ‘우수’ 등급의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날 쏘나타 출시 30주년 기념 고객 초청 영화시사회로 알고 현장을 찾은 고객은 현대차의 이번 ‘깜짝 이벤트’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인천에 거주하는 송용근(37)씨는 실험 결과를 지켜본 뒤 “쏘나타를 타고 있지만 수출용과 내수용 쏘나타 차별 논란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역시 인천에 거주하는 한효봉(40)씨는 내수용과 수출용 모델의 차별 논란에 대해 “강판은 같을지 몰라도 내부 부품 등이 다를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다만 현대차가 고객들을 상대로 이 같은 소통의 노력을 한 점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곽진 현대차 부사장은 이번 행사 배경에 대해 “고객들의 오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 초 신설한 커뮤니케이션 부서에서 고객들과의 소통 차원으로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면서 “앞으로 현대차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나타내는 자동차 동호회 등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더 많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08-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