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
영업이익률 3.62%로 올라
글로벌 기업 7.5%로 격차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가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글로벌 경쟁에서는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영업이익률은 3.62%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완성차 계열기업인지 중소기업인지에 따라 격차가 컸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의 ‘부품산업의 환경 변화와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요 부품기업(213곳)의 영업이익 합계는 4조 5118억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다.
매출 합계는 0.18% 증가한 124조 6918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3.13%에서 3.62%로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대·중견기업 119개사, 중소기업 94개 사를 대상으로 했고 현대차그룹 계열사 5개 사(현대모비스·현대위아·현대오토에버·현대트랜시스·현대케피코)이 포함됐다.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영업이익률은 0.97%포인트 올라 3.49%를 기록했고 중소기업은 0.66%포인트 오른 2.22%다. 비계열 대·중견기업의 영업이익률은 0.05%포인트 하락한 3.81%다.
전체 213개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은 4조 8894억원으로 2023년보다 1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대비 비율은 3.46%에서 3.92%로 상승했다.
다만 글로벌 경쟁 기업들과 비교하면 수익성과 R&D 지표 모두 열위에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유럽연합(EU)이 선정하는 세계 2000개 기업에 포함된 부품기업 103개 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23년 7.5%로 국내 수준을 크게 상회했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도 평균 4.7%로 국내 업계(3.92%)를 웃돌았다.
지난해 현대차그룹 계열 부품사(5곳)의 R&D 투자액은 2조 4405억원이었는데, 도요타 계열 부품사(7곳)는 지난 3년간 연평균 1조엔(약 9조 4882억원)의 R&D와 자본투자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연구원은 국내 부품업계가 미국의 통상 압력, 중국의 추격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면서 효율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전문 인력 보유 여부, R&D 투자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 중심의 효율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