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 노리는 현대차, 1% 미만 점유율·中브랜드 약진 딛고 반등할까

중국 시장 노리는 현대차, 1% 미만 점유율·中브랜드 약진 딛고 반등할까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5-10-03 16:00
수정 2025-10-03 1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30년 中 판매 목표 44만대 이상
현대차·기아 현 점유율 0.9%에 불과
‘일렉시오’ 이후 내년 전기 세단 출시
中 브랜드 급성장…원가절감 등 과제

이미지 확대
현대자동차의 중국 전용 전기차 ‘일렉시오’.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의 중국 전용 전기차 ‘일렉시오’.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미국발 관세 파고에도 2030년 글로벌 판매 555만대를 목표로 제시하면서 2016년 주한미군 사드 배치가 촉발한 한중 갈등으로 무너진 중국 시장을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5년간의 기회를 놓쳐 도전적인 목표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중국 판매 비중을 전체의 8%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는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417만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중국 시장 판매량은 4%인 16만 7000대를 잡았고, 2030년에는 중국 판매 비중을 8%로 올리면서 44만 4000대가량을 판매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3일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2016년 중국에서 4.8%의 점유율을 보이며 114만 2016대를 팔았던 현대차의 중국 내 점유율은 사드 사태에 따른 한한령(限韓令) 이후 판매망이 무너지면서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현대차 판매량은 12만 5127대이고, 점유율은 0.6%에 불과했다. 현대차그룹 전체로 넓혀 기아와 합쳐도 2016년 7.5%(179만 2021대)에서 지난해 0.9%(20만 3012대)까지 떨어졌다. 올해 현대차그룹의 중국 시장 판매량은 1~8월 13만 1341대(현대차 7만 9222대, 기아 5만 2119대)로 점유율은 0.9%에 불과하다.

현대차그룹의 중국 내 공장 폐쇄도 이어졌다. 2017년까지 현대차는 베이징에 공장 3곳, 창저우와 충칭에 각각 1곳의 공장을 건설했고, 기아는 옌청 공장 3곳을 건설해 연간 생산 능력 254만대(현대 165만대, 기아 89만대) 시설을 갖췄으나, 지금은 현대차가 베이징에 공장 2곳(75만대)을, 기아가 옌청에 2곳(75만대)을 운영해 150만대 수준으로 줄었다.

그런데도 현대차가 중국을 포기할 수 없는 것은 중국의 지난해 자동차 산업 수요가 2258만대에 이를 정도로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전기차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보인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내 순수전기차(BEV) 판매량은 630만 3000대로, 2023년(496만 5000대)보다 26.9% 늘었다.

최근 현대차는 신차를 앞세워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 현대차는 이달 중 중국 전용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일렉시오’를 출시할 예정으로 사전 계약을 받고 있어 일렉시오가 중국 점유율 회복을 결정지을 첫 단추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중국 전용 준중형 전기 세단을 출시한다. 현대차는 중국에서 아직 출시하지 않은 ‘아이오닉’ 브랜드 전기차도 투입할 것을 예고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중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회복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중국 시장의 치열한 경쟁과 중국 브랜드의 급성장 때문이다. 일례로 2016년 당시에는 중국 내수 시장 내 상위 10개 브랜드 가운데 중국 업체는 3개(창안, 창청, 지리)로 이들의 점유율은 12.6%였지만, 지난해에는 BYD, 지리, 창안, 창청 4곳으로 늘었고, 이들의 합산 점유율은 34.2%에 달한다. BYD 등 저가형 전기차 모델과 경쟁하기 어렵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현대차가 미국 수출 감소분을 상쇄하려 하지만, 중국 전기차 시장은 이미 ‘치킨 게임’이 돼버린 상황으로 현대차로서는 상당히 도전적인 목표”라며 “원가 절감을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중국에서 버틸 수 없다”고 전망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과 교수는 “사드 사태(2016년) 이후 5년간이 한국 자동차가 중국을 공략할 마지막 기회였지만, 그동안 중국 자동차의 상품성이 향상됐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