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값 3년째 안정세

전국 땅값 3년째 안정세

입력 2011-02-28 00:00
수정 2011-02-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의 표준지 공시지가가 지난해에 비해 1.98% 소폭 상승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년 연속 땅값 안정세가 두드러지면서 일부 고가 토지를 제외하고는 보유세 부담도 크게 늘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국토해양부는 올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 50만 필지의 공시지가를 28일 공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연도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은 2006년 17.81%, 2007년 12.40%, 2008년 9.63%로 연간 10%가량 뛰었으나,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2009년 -1.42%로 둔화됐고 지난해에는 2.51%였다.

지역별로는 전국 251개 시·군·구 가운데 250개 지역의 공시지가가 상승했다. 충남 계룡시만 인구 유입이 감소하면서 0.08% 하락했다. 강원 춘천시(6.22%)는 경춘선 개통 등의 영향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용도별로는 관리지역(2.60%)과 녹지지역(2.59%)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상업지역(1.61%)과 주거지역(1.87%) 등은 평균을 밑돌았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표준지는 서울 중구 충무로1가 24-2(네이처리퍼블릭 화장품매장)로 ㎡당 6230만원이었다. 경북 울진군 소재 임야는 ㎡당 가격이 115원으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이신규 하나은행 세무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올해 보유세 부담은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성남 분당구 판교동의 한 토지(234㎡·나대지 가정)처럼 공시지가 상승률이 14.71%(3억 7600만원→4억 3130만원)로 큰 곳은 재산세도 17.38%(164만 7000원→193만 4000원)로 증가한다.

또 별도합산과세 대상인 상업용 부속토지는 종합부동산세 공정시장가액 비율이 지난해 75%에서 올해 80%로 뛰면서 세 부담이 급증한다. 공시지가가 5억원을 초과해 종부세 대상이 된 토지의 세 부담은 더욱 늘어난다. 지난해 종부세 과세 대상이 아니었던 서울 종로구 평창동 803㎡의 토지(나대지 가정)는 공시지가가 지난해 4억 4566만 5000원에서 올해 5억 7816만원으로 29.73% 올라 보유세도 지난해 200만 8545원에서 올해 299만 5003원으로 49.11%나 급등한다. 종부세 부담이 추가됐기 때문이다.

올해 표준지공시지가는 국토부 홈페이지(www.mltm.go.kr) 또는 소재지 시·군·구 민원실에서 28일부터 다음 달 29일까지 열람할 수 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2-2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