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부산행’ 탄 기업銀 ‘쌍대박’ 상륙작전?

[경제 블로그] ‘부산행’ 탄 기업銀 ‘쌍대박’ 상륙작전?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07-27 22:42
수정 2016-07-28 0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카드·국민은행은 콘서트… 신한 유망주 발굴 등 문화마케팅
기업 이미지·고수익 일석이조

기업은행이 요즘 투자한 영화들이 잇따라 흥행하면서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습니다. 15억원을 투자한 영화 ‘부산행’이 개봉 첫 주 만에 530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으면서 손익분기점을 거뜬히 넘어섰고, 27일 개봉한 블록버스터 영화 ‘인천상륙작전’에도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기업은행은 2013년 7월 영화투자지원 전담 부서인 ‘문화콘텐츠금융부’를 꾸려 2014~2015년에 영화, 드라마, 뮤지컬 제작에 총 7315억원을 지원하는 등 문화 마케팅의 전통 강자로 자리를 굳히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이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걸 ‘메세나’라고 합니다. 유래는 고대 로마제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정치가이자 시인이었던 가이우스 마에케나스(기원전 67~기원후 8년)가 당대 예술가들을 적극 후원하면서 로마의 예술을 부흥시킨 데서 출발합니다.

문화·공연 하면 현대카드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현대카드는 2007년 세계 최정상급 팝페라 그룹 ‘일디보’의 내한 공연을 시작으로 세계적인 가수들을 초청하는 ‘슈퍼콘서트’를 지금까지 21차례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1년부터는 연극이나 전시, 무용까지도 영역을 확장한 ‘컬처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는데요. 현대카드는 티켓 수익을 얻지는 않지만 현대카드로 결제하면 20%가량 할인받을 수 있어 기존 고객 유지와 신규 고객 유치에 효과를 보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국민은행도 지난달 말 모바일앱 ‘리브’를 출시하면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우수 고객과 신규 고객들을 대상으로 대형 콘서트를 열었습니다.

유망주 발굴에는 신한이 강합니다. 신한은행은 2009년부터 신한음악상을 개최해 순수 국내파 클래식 유망주를 발굴,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는 지난해부터 인디밴드를 발굴·육성하는 프로그램으로 그레이트 루키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금융사들은 “이전에는 문화 콘텐츠 투자가 고위험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잘 만든 콘텐츠 하나로 고수익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기업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드러내고 자연스럽게 고객을 확보할 수 있어 일석이조 효과가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7-2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