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중심 못 벗어난 금융권…여성 뽑아도 비정규·고졸, 임금 격차도

남성 중심 못 벗어난 금융권…여성 뽑아도 비정규·고졸, 임금 격차도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3-03-08 17:58
수정 2023-03-08 17: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무금융노조 조사 결과
2금융권 여성 임원 8.3%

금융권의 남성 중심 문화가 여전히 공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2금융권의 여성 채용은 비정규직·고졸 인력에 쏠렸고, 시중은행에서도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가 뚜렷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카드·저축은행·증권·보험·공공금융·상호금융 54곳을 대상으로 여성 채용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이들 사업장에 정규직 여성 비율은 41.6%(전체 1479명 중 616명), 비정규직 여성 비율은 65.1%(전체 1317명 중 858명)로 나타났다.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에서 여성 비율이 높은 것이다.

최종학력이 고졸인 정규직 및 비정규직 신입사원 203명 중에는 여성이 171명으로 84.2%를 차지했다. 초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정규직은 여성 비율이 40%에 그쳤지만, 비정규직은 62.9%에 달했다. 노조는 “성차별적인 관행이 여성 노동자들을 질 낮은 일자리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여성 노동자들은 채용뿐 아니라 ‘낮은 기여도’나 ‘출산과 육아휴직’ 등을 이유로 승진에서도 제외되기 일쑤였다. 54개 사업장 전체 임원 1136명 가운데 여성은 94명으로 8.3%에 그쳤다. 부장급 관리자 자리는 10명 중 9명꼴로 남성에게 돌아갔다. 여성 관리자 비중은 전체 2803명 중 321명으로 11.5% 수준이었다.

한편 시중은행에서는 2금융권과 같이 여성 인력 비정규직 쏠림 현상이 관측되지는 않았지만, 여성과 남성 사이에 임금 격차가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의 남성 직원 1인 평균 급여는 6900만원이다. 반면 여성 직원 1인 평균 급여는 4700만원으로 남성 급여의 69% 수준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