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선불 충전금 미상환 잔액 2717억, ‘스벅’이 92% 차지

카페 선불 충전금 미상환 잔액 2717억, ‘스벅’이 92% 차지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5-30 20:18
수정 2022-05-31 15: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스타벅스
스타벅스 뉴스1
기프티콘, 모바일 상품권, 선불카드 등 카페 선불충전금 잔액 규모가 2700억원대까지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스타벅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92.1%에 달했다. 카페 선불충전금 규모가 나날이 커지는 가운데 쿠폰 금액보다 적은 상품을 주문하면 차액을 돌려받지 못하는 점과 같은 소비자 불편 사항이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스타벅스,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폴바셋, 할리스, 공차, 이디야, 탐앤탐스, 달콤, 드롭탑 등 10개 카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이 총 2717억 12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정거래위원회 자료를 인용해 30일 밝혔다. 선불충전금은 소비자가 카페 이용을 위해 미리 충전해 둔 돈이다. 선불카드나 모바일 상품권, 기프티콘 등에 충전해 환불받거나 쓰지 않고 남아 있는 돈이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으로 집계된다.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2503억원(92.1%)으로 전체 10개 업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1분기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잔액이 더 늘어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 잔액 규모가 3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 다음은 커피빈으로 94억 4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투썸플레이스(41억 6700만원), 폴바셋(37억 3500만원), 할리스(22억 5800만원) 순이었다.

10개 업체 가운데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을 타인에게 송금할 수 있도록 한 업체는 한 곳도 없었다. 업체가 파산하거나 재무 상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을 돌려줄 수 있도록 보험에 가입한 업체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커피빈, 할리스, 공차 등 6곳이다. 폴바셋, 탐앤탐스, 드롭탑, 달콤 등 4곳은 아직 보험 가입 신청 중인 상태로 확인됐다.

2022-05-3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