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인도 점유율 10% 달성 목표… 전기차 시장 공략

기아, 인도 점유율 10% 달성 목표… 전기차 시장 공략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3-10-24 00:15
수정 2023-10-24 0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7월 13일 기아 인도 공장에서 열린 누적 생산대수 100만대 돌파 기념식에서 박태진(오른쪽 다섯 번째) 기아 인도법인장 등 임직원과 인도 주정부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아 제공
지난 7월 13일 기아 인도 공장에서 열린 누적 생산대수 100만대 돌파 기념식에서 박태진(오른쪽 다섯 번째) 기아 인도법인장 등 임직원과 인도 주정부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아 제공
올해로 인도 진출 4년째에 접어든 기아가 본격적인 인도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상반기 기준 6.7% 수준인 인도시장 점유율을 10%까지 높이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기아 2.0 전략’을 최근 발표했다. 이를 위해 현지에서 생산하는 차종을 확대하고 지난 6월 말 기준 215개 도시에 300곳가량 운영 중인 판매점 수를 2배 이상 늘려 판매 네트워크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셀토스, 쏘넷 등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인기에 기반한 프리미엄 이미지와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인도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는 구상이다. 2025년부터 현지에 최적화된 소형 전기차를 생산하고 목적기반차량(PBV) 등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공급할 예정이다.

앞서 기아는 지난 7월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아난타푸르에 위치한 공장에서 누적 생산 차량 100만대를 달성했다. 기아는 2019년 약 216만㎡ 부지 위에 연간 최대 생산능력 35만대 규모의 완성차 공장을 건립했다. 이후 셀토스 53만 2450대, 쏘넷 33만 2450대, 카렌스 12만 516대, 카니발 1만 4584대를 생산했다는 설명이다.

이 밖에도 기아는 2019년 델리 인근의 신도시인 구르가온에 글로벌 복합 브랜드 체험관 ‘기아 360’을 개관했으며 차량 구매부터 유지관리까지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도 운영하고 있다.

이 같은 지원에 힘입어 지난 1월 카렌스가 현지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2023 인도 올해의 차’로, 전용 전기차 EV6는 올해의 차 그린카 부문에 각각 선정되기도 했다.
2023-10-2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