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응답했다. 18대 대선 보도/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국민대 겸임교수

[옴부즈맨 칼럼] 응답했다. 18대 대선 보도/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국민대 겸임교수

입력 2012-12-19 00:00
수정 2012-12-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18대 대통령 선거의 날이 밝았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문재인 민주통합당후보는 그간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차 범위 내에서 초박빙 접전을 벌여왔다. 두 후보 중 누가 국민의 부름에 응답해 대한민국의 5년을 이끌어 나갈 대통령인지 오늘 오후 6시면 판가름 날 것이다. 대통령으로 어느 후보가 뽑히든, 18대 대선은 그 어느 때보다 새 정치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는 역사적 사명을 지고 있다. 비록 막판에 네거티브 선거 혼탁 양상이 있었지만 이번 선거판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끗해진 것은 사실이다.

이미지 확대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대선 관련 보도 또한 구태에서 벗어나 진일보했다. 그간 한국의 대선 보도는 크게 세 가지 점에서 문제점을 드러내 왔다. 첫째, 각 후보들이 발표하고 언급한 정책만을 비교하는 데 머물러, 언론사의 자체적 문제 제기가 부족했다. 둘째, 후보들의 일거수 일투족 동정보도에 머물러 정작 정책비교를 통한 정책검증이 소홀했다. 셋째, 유권자를 분화해 각각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각 후보가 어떻게 준비하는지, 실제적 수혜자층은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해 실제적으로 접근하는 기획도 미약했다.

이번 대선 보도는 이런 약점에서 벗어나 유권자의 여망에 응답하고자 하는 시도가 눈에 띄었다. 서울신문은 ‘18대 대선’ 특집보도에서 대선후보별 심층분석을 통해 궁금증을 풀어줬다. ‘인사가 만사다’란 말이 있다. 박근혜·문재인 후보 진영 사람들의 면면과 인재등용 기준을 살펴본 기획물로서, 유권자들이 객관적 판단을 하는 데 유익했다.

후보들의 쟁점과 의혹을 정리한 ‘쟁점 행적’ 역시 돋보였다. 검증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캠프에서 제기하고 논란의 대상이 되는 후보별 쟁점과 의혹을 정리해 사안별로 해당 후보 측의 반론을 함께 실은 기획 취지는 시의적절했다. 미래에 대한 약속은 과거 이력의 증명이 있을 때 신뢰를 확보한다. 미사여구 홍보성 자료와 음해성 비방이 넘치는 양극단에서 후보들의 행적을 통해 도덕성·리더십·자질을 판단하는 잣대를 제공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쟁점 제기→후보 측의 해명에 대한 1차전에 머물러 논란을 발본색원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이다.

특색 있었던 것은 ‘유권자들이 본 대선공약’ 연재물이었다. 현실에서 유리된 탁상공론이 아니라, 유권자들이 그들의 생활이나 관심 분야와 관련된 공약을 어떻게 진단하고 평가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권자들 선택에 준거가 될 것이란 점에서다. 대학생·비정규직·여성 직장인·자영업자·베이비 부머 등 총 5회에 걸쳐 유권자들의 시각으로 양대 후보의 공약의 허실을 매섭고 꼼꼼하게 따졌다. 유권자들은 단지 보기 좋되 먹을 수 없는 떡, 선심성 공약보다 실제로 먹을 수 있는 떡을 원한다는 것을 정치인들이 깨달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제 지역별·분야별 공약을 넘어 세대별·직업별로 보다 더 마이크로 타기팅화된 공약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같은 시도는 주목받을 만했다.

서울신문과 한국정치법학연구소가 14일 공동으로 진행한 대선 후보 정책·공약 비교평가는 두 후보의 10대 공약 우선순위를 일목요연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경제민주화, 통합, 행복 등 키워드조차 비슷비슷해 후보들 공약 간 차별성을 찾기 어려운 게 이번 대선의 특징 중 하나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박 후보는 ‘경제민주화→복지체계 구축→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 순으로, 문 후보는 ‘일자리 창출→경제민주화→복지국가와 성평등 사회’ 순으로 중시함을 보여줬다. 국정운영 방향을 알아보는 데 쉽고도 유용한 지표임에 틀림없다.

아울러 이번 대선보도에서도 저격수, 격전지, 대권고지, 광화문 대첩 등 살벌한 전쟁·군사용어를 쓰는 과거의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단순히 용어 선택 차원을 넘어 선거보도 자체의 프레임이 게임과 싸움의 전통적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5년 뒤 다음 19대 대선 때는 보다 더 품위 있고 조화로운 언어를 사용해 선거풍토를 이끄는 언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2-12-19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