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디를 가든 영어가 있다. 그 지역의 말을 몰라도 영어가 괜찮은 도구가 된다. 그만큼 영어의 영향력은 넓고 강하게 퍼져 있다. 우리말에 새로 들어오는 말도 영어에서 온 게 대부분이다.
영어에 대해 지나치게 관대해지는 분위기다. 소통과는 무관하게 쉽게 받아들이고 전한다. 때로는 자체적으로 영어로 말을 만들기도 한다. 더 새롭거나 세련돼 보이게 할 때 영어가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영어가 힘 있는 언어라는 의식이 오랫동안 퍼져 온 배경도 있다. 영어가 어디서나 힘을 발휘하는 게 아닌데 그렇게 여긴다. 공공성을 띤 말들은 쉬운 게 미덕인데, 영어로 된 말에서는 이 가치를 쉽게 버린다.
‘샌드박스’는 일부에게만 낯익은 말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엔 정부의 정책 명칭으로도 등장했다. 지난해 1월부터 정부는 ‘규제샌드박스’를 시행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기업이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내놓을 때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 유예하는 제도’를 말한다. 국립국어원은 ‘규제샌드박스’ 대신 ‘규제유예(제도)’를 제시했다. ‘규제샌드박스’는 모두가 함께하는 데 무리가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규제유예’는 풀이말 정도로만 그치게 될 때가 많다.
wlee@seoul.co.kr
영어에 대해 지나치게 관대해지는 분위기다. 소통과는 무관하게 쉽게 받아들이고 전한다. 때로는 자체적으로 영어로 말을 만들기도 한다. 더 새롭거나 세련돼 보이게 할 때 영어가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영어가 힘 있는 언어라는 의식이 오랫동안 퍼져 온 배경도 있다. 영어가 어디서나 힘을 발휘하는 게 아닌데 그렇게 여긴다. 공공성을 띤 말들은 쉬운 게 미덕인데, 영어로 된 말에서는 이 가치를 쉽게 버린다.
‘샌드박스’는 일부에게만 낯익은 말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엔 정부의 정책 명칭으로도 등장했다. 지난해 1월부터 정부는 ‘규제샌드박스’를 시행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기업이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내놓을 때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 유예하는 제도’를 말한다. 국립국어원은 ‘규제샌드박스’ 대신 ‘규제유예(제도)’를 제시했다. ‘규제샌드박스’는 모두가 함께하는 데 무리가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규제유예’는 풀이말 정도로만 그치게 될 때가 많다.
wlee@seoul.co.kr
2019-03-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