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방짜 유기-놋주발/이강산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방짜 유기-놋주발/이강산

입력 2019-11-21 17:34
수정 2019-11-22 0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요배 / 주운(朱雲)
강요배 / 주운(朱雲) 97×193.9㎝, 캔버스에 아크릴릭, 2005
현실과 발언 동인, 12대 민족미술인협회 회장
방짜 유기-놋주발/이강산

눈코입과 살과 뼈
육신이 투명해지도록 두들겨 맞고
비로소 밥 한 그릇 담는다


저 금빛 피멍
점묘화처럼 빈틈없이 찍힌 흉터
그러나 저들의 매질, 눈여겨보면
그건 단순히 밥그릇의 성형이 아니다
제 몸의 담장 허무는 일이다


내 놋주발에 밥 한 그릇 제대로 담지 못해
아침마다 숟가락 거머쥐는 것은
아직 매 덜 맞은 때문


손이 발이 되고 발바닥이 입이 되는
저 무한 경계의 사랑
이루지 못한 때문이다


‘시란 무엇인가?’라고 물어 오는 이가 있다. ‘삶이란 무엇인가?’라고 묻는 이도 있다. 얕은 생의 이력으로 이 질문들에 답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방짜 유기는 육신이 문드러지도록 매를 맞은 뒤 비로소 따뜻한 밥 한 그릇을 담아낸다. 아름답고 철학적인 삶 아닌가? 시인은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그릇 앞에서 ‘제 몸의 담장 허무는 일’을 생각한다. 손이 발이 되고 발바닥이 입이 되는 무한 경계의 사랑을 생각한다. 삶이란, 시란 이 경계의 꿈을 이루고자 하는 혼신의 힘 아니겠는가. 점묘화처럼 빈틈없이 찍힌 흉터 아니겠는가.

곽재구 시인
2019-11-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