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정원에서 에스메와의 자화상(Self-Portrait with Esme in the Garden)/샹탈 조페 · 말하고 싶지 않은 말/이바라기 노리코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정원에서 에스메와의 자화상(Self-Portrait with Esme in the Garden)/샹탈 조페 · 말하고 싶지 않은 말/이바라기 노리코

입력 2022-09-15 20:30
수정 2022-09-16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는 자신과 주위의 가까운 여성을 담은 초상화를 선보인다. 작품은 작가 자신과 딸 에스메가 팬데믹 시기에 런던 집의 여름 정원에 있는 모습. 12월 4일까지 경기 양평 구하우스 미술관.

말하고 싶지 않은 말/이바라기 노리코

마음속에 강한 압력을 가해

남몰래 감춰둔 말

소리 내 말하면

글로 써내면

순식간에 빛이 바래리라

그 말로 인해

나 여기 있으나

그 말로 인해

나 살아갈 힘을 얻으나

남에게 전하려 하면

너무도 평범해져

결코 전하지 못하리라

그 사람 고유의 기압 내에서만

생명을 얻는 말도 있는 법이다

한 자루의 초처럼

격렬히 타올라라 완전히 타버려라

제멋대로

어느 누구의 눈에도 닿지 않고

말을 많이 한 날은 영혼이 텅 빈 자루가 된 기분입니다. 진실에 다가가려 할수록 언어는 쉽게 모양을 바꾸니까요. 말을 보탤수록 원래 뜻과 멀어져 웅변이 되고, 얄팍해지고, 생기 없는 말이 되곤 합니다. 시인은 한 사람만이 가진 고유의 ‘기압’ 내에서만 살아나는 말이 있다고 합니다. 발화를 거치지 않고 혀 아래 꼭꼭 다져 놓은 말. 불꽃처럼 격렬히 타올랐다가 자신의 내부에서 고요히 사그라드는 말. 그런 말은 침묵을 연료로 해야 뜨겁게 타오를 수 있다지요. 초 한 자루를 태우는 시간 동안 입을 다물고 싶습니다. 고체였던 초가, 액체 상태의 촛농이 되어 흐르고, 다시 기체로 몸을 바꾸는 과정을 떠올려 봅니다. 말이 생각이 되어 고요히 맺혔다가, 뜨겁게 내면을 바꾸는 힘을 믿고 싶어집니다.

신미나 시인
2022-09-1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