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왜란, 방비 소홀과 판단 착오 때문이라면

[서울광장] 왜란, 방비 소홀과 판단 착오 때문이라면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5-10-21 01:03
수정 2025-10-21 0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패 원인 귀 아프게 듣지만
바르게 대처했던 인물엔 무관심
김수·황윤길 영웅은 아니더라도
역사책에 합당한 자리 마련해야

임진왜란 초기 당황스러운 사건의 하나는 경상도관찰사 김수와 의병을 일으켜 홍의장군을 자칭한 곽재우의 갈등이었다. 1592년 4월 14일 부산진에 상륙한 왜군은 삽시간에 경상도를 돌파했다. 김수는 당연히 지역 행정과 군사의 최고 책임자였다. 하지만 왜군의 침입을 막지 못한 책임을 그 한 사람에게 돌리는 것 또한 어이없는 일이다.

김수는 진주·창원·의령 등 경상우도 일대를 오가며 지휘 명령을 내렸지만 관군은 이미 궤산(潰散) 상태였다. 선조실록은 ‘곽재우는 김수가 싸우지 않고 퇴각하는 것에 분격했다’고 적었다. 곽재우가 김수의 죄를 따져 물으며 살려 두지 않겠다는 격문을 보내자 김수도 치계를 올려 곽재우가 명령을 따르지 않는 역적이라고 했다. 사실 곽재우가 의령과 초계 관아의 무기와 곡식을 거두어 들인 것은 당시 상식으로 반란에 가까웠다. 곽재우는 토적(土賊)으로 지목돼 한동안 지리산에 숨었다.

갈등은 왜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수는 1591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해 연해 읍성과 진성의 보수에 나섰다. 훗날 왜군에 가장 먼저 떨어진 부산진성이 성벽이 낮고 군졸이 적어 수비하기 어렵다고 알린 것도 김수였다. 당시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사족은 노역에서 빼주는 것이 관행이었지만 김수가 동원령을 내리자 곽재우를 비롯한 사족의 반발은 거셌다. 관찰사의 전란 대비에 조직적으로 저항한 것이다.

임진왜란은 준비 없이 당한 전쟁이 아니다. 당시 조선에서 왜란이 일어나는 것은 기정사실이었다. 정읍현감 이순신을 1591년 2월 무려 7단계를 뛰어넘어 전라좌수사로 승진시킨 것도 위기의식 때문이었다. 선조수정실록은 같은 해 ‘호남과 영남의 성읍을 수축했다. 경상 감사 김수는 더욱 힘을 다해 축성을 가장 많이 했다’고 적었다. 문제는 다음 대목이다. 실록은 ‘(보수한 성은) 겨우 모양만 갖추었을 뿐 백성들에게 노고만 끼쳐 원망이 일어나게 했다’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읍성 보수를 방해한 것도 사족이고, 왜적의 침략에 분연히 떨쳐 일어선 것도 사족이었다.

김수와 곽재우의 갈등을 봉합한 이가 김성일이다. 1590년 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뒤 정사 황윤길과 엇갈린 보고를 했던 그 인물이다. “왜가 반드시 침입할 것”이라는 황윤길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그럴 만한 그릇이 못 되는 작자’라고 했던 김성일이다. 1592년 2월 왜적이 가장 먼저 상륙할 것이 분명한 경상우도의 병마절도사로 임명됐다.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언행에 책임을 지라’는 뜻이 아니었을까 싶다.

김성일도 부임하자마자 성곽 보수에 나섰다. 시간도 부족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한 이유는 김수의 경우와 다르지 않았다. 그는 정세 판단 잘못으로 파직돼 상경하는 길에 경상우도초유사로 임명됐다. 의병과 관군의 조화를 이끌어 전투력을 강화하면서 왜군의 호남 진공을 막았다. 그는 도산서원에서 퇴계 이황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침략 의도에 대한 오판을 두고 ‘퇴계 정신을 정치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신중함의 결과’라는 비판은 학자적 소신에 대한 두둔처럼 들리기도 한다.

곽재우는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영웅이다. 곽재우 의병이 왜군의 경상우도 침공을 막아낸 의령 정암진에는 말을 타고 호령하는 그의 동상이 우뚝하다. 김성일은 그의 호를 딴 학봉파를 이끄는 조선 후기 대표적 학자로 숭앙받고 있다. 반면 김수와 황윤길에 대한 평가는 인색하기만 하다. 실제로 사학계에서 김수나 황윤길을 단독으로 다룬 논문은 한 편도 찾지 못했다. 나아가 황윤길이 일본의 위세에 겁에 질려 침입 가능성을 보고했다는 주장은 곧바로 식민 역사관 서술에 재활용됐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라고 했다. 한중일 삼국전쟁으로 망한 것은 조선이 아니라 명나라다.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지난해 일본을 뛰어넘었다. 이제 열등감을 떨치고 역사를 바라봐도 된다. 우리는 왜란의 원인을 방비 소홀과 판단 착오로 지목하곤 한다. 그럼에도 방비에 적극 나섰거나 판단을 제대로 했던 인물에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는 현실은 아이러니다. 두 사람이 영웅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역사책에 최소한의 자리를 마련해 주는 것은 당연한 책무가 아닐까 싶다.

서동철 논설위원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2025-10-2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