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그리운 맛/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그리운 맛/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12-15 22:28
수정 2016-12-15 22: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네 마트에서 절임 배추를 싸게 판다고 야단이다. 시속(時俗)이란 참 줏대 없다. 몇 해 전까지도 절여진 배추를 상자째 들이는 김장은 편법 축에 들었다. 장삿속 절임 배추는 며칠씩 비닐에 꽁꽁 동여매이기 마련. 겨울 밥상을 관장하기에는 어째 쩨쩨한 풍모다.

온 집안의 소란한 손발품이 들어가야 김장은 제격이다. 정통의 맛은 그래야지 싶은 고집은 추억 탓이다. 어릴 적 우리 집 김장 날은 잔칫날이었다. 한나절 통배추 백포기쯤 다 쪼개지면 대문 밖에까지 시퍼런 풋내가 진동했다. 남산만 한 고무통에 풋배추를 켜켜이 쌓아 좌락좌락 왕소금을 지르던 어머니 손끝은 찰찰하고 시원했다. 한밤 장독간에 달빛이라도 엉기면 풀 죽은 배춧속은 왜 또 그렇게 샛노랗던지.

시골집에서 김장김치가 올라왔다. 몸살이 질겨서 올해는 절임 배추란 놈을 처음 사 봤다고, 어머니는 고백처럼 전화를 걸어오신다. 먼저 먹을 것, 뒀다 먹을 것 나눠 소금 농도를 늘상 따로 맞춰 주셨던 어머니다.

계피향 설핏한 우리 집 김치맛을 영영 잊어야 할 날, 오고야 말겠지. 살면서 정말 겁나는 일은 어쩌면 그런 것. 그리움이 지금 밥상 위에 있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12-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