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여성만이 총장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이화여대에서 남성 총장이 등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지난해 말 법인이사회에서 여성으로 한정했던 총장 자격기준을 바꿔 남성에게도 ‘등용문’을 열어줬다고 한다. 당장 오는 7월 제15대 이화여대 총장에 남성이 선출될지 주목된다. 그렇게 되면 1886년 이화학당 설립 이래 128년 만의 ‘일대사건’이라고 할 만하다.
이대의 남성 총장 허용은 ‘대세’에 역행할 수 없다는 절박함 속에서 나온 결정으로 비쳐진다. 점점 치열해지는 대학 간 경쟁에서 여성 총장만을 고집하는 것은 스스로 선택의 폭을 좁히는 자승자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과 학문 발전에 기여한다면 성별이나 동문 여부를 따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실제 이대를 제외한 국내 4년제 여대들은 총장 자격에 성별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이미 몇몇 여대에서는 남성 총장들이 학교 발전을 견인하고 있기도 하다. 일본의 많은 여대들도 마찬가지다.
세계 여자대학들의 상징인 미국 ‘세븐 시스터즈’는 상황이 약간 다르다. 동부 ‘아이비리그’의 남자대학 7곳에 맞춰 설립된 7곳의 여자대학을 일컫는 ‘세븐 시스터즈’ 가운데 일부는 여전히 여성 총장을 고집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두 명의 국무장관을 배출한 웰즐리대가 대표적이다. 1972년 두 달여간 남성이 총장 권한대행을 맡았지만 공교롭게도 이때 교내에 벼락이 내리쳤고, 학교 측은 이를 “남성 총장은 안 된다”는 ‘징조’로 받아들여 여태껏 여성 총장 전통을 깨지 않고 있다고 한다. 스미스대 등의 경우 총장을 여성으로 한정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 여성 총장이 대학을 이끌고 있다.
2007년 세계 최고의 명문인 미 하버드대가 의미심장한 ‘결단’을 내린 바 있다. 개교 371년 만에 처음으로 제28대 총장에 여성인 드류 길핀 파우스트 교수를 임명했다. 게다가 그는 하버드대 출신도 아니다. 남성과 동문 외에 누구에게도 총장 자리를 내주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른바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지난해 방한한 파우스트 총장은 “여성 인력을 배제하는 국가는 반드시 실패한다”며 양성평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여성 인력은 사회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국가고시 합격자의 여성 비율도 절반에 육박한다. 이대의 남성 총장 허용이 당연하듯이 SKY 대학에서도 여성 총장이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성별이 아닌 능력으로 평가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대세’가 되어가고 있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이대의 남성 총장 허용은 ‘대세’에 역행할 수 없다는 절박함 속에서 나온 결정으로 비쳐진다. 점점 치열해지는 대학 간 경쟁에서 여성 총장만을 고집하는 것은 스스로 선택의 폭을 좁히는 자승자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과 학문 발전에 기여한다면 성별이나 동문 여부를 따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실제 이대를 제외한 국내 4년제 여대들은 총장 자격에 성별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이미 몇몇 여대에서는 남성 총장들이 학교 발전을 견인하고 있기도 하다. 일본의 많은 여대들도 마찬가지다.
세계 여자대학들의 상징인 미국 ‘세븐 시스터즈’는 상황이 약간 다르다. 동부 ‘아이비리그’의 남자대학 7곳에 맞춰 설립된 7곳의 여자대학을 일컫는 ‘세븐 시스터즈’ 가운데 일부는 여전히 여성 총장을 고집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두 명의 국무장관을 배출한 웰즐리대가 대표적이다. 1972년 두 달여간 남성이 총장 권한대행을 맡았지만 공교롭게도 이때 교내에 벼락이 내리쳤고, 학교 측은 이를 “남성 총장은 안 된다”는 ‘징조’로 받아들여 여태껏 여성 총장 전통을 깨지 않고 있다고 한다. 스미스대 등의 경우 총장을 여성으로 한정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 여성 총장이 대학을 이끌고 있다.
2007년 세계 최고의 명문인 미 하버드대가 의미심장한 ‘결단’을 내린 바 있다. 개교 371년 만에 처음으로 제28대 총장에 여성인 드류 길핀 파우스트 교수를 임명했다. 게다가 그는 하버드대 출신도 아니다. 남성과 동문 외에 누구에게도 총장 자리를 내주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른바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지난해 방한한 파우스트 총장은 “여성 인력을 배제하는 국가는 반드시 실패한다”며 양성평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여성 인력은 사회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국가고시 합격자의 여성 비율도 절반에 육박한다. 이대의 남성 총장 허용이 당연하듯이 SKY 대학에서도 여성 총장이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성별이 아닌 능력으로 평가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대세’가 되어가고 있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4-01-1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