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테러 후 첫 지방선거서 극우정당 13개 지역 완패

프랑스 테러 후 첫 지방선거서 극우정당 13개 지역 완패

입력 2015-12-14 08:52
수정 2015-12-14 08: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극우정당 국민전선 좌·우파 유권자 결집에 1차 투표 상승세 살리지 못해우파 야당 공화당 7곳, 좌파 집권 사회당 5곳 승리 예상

파리 테러가 일어난 지 정확히 한 달만인 13일(현지시간) 치러진 프랑스 지방선거 2차 결선투표에서 극우정당인 국민전선이 1차 투표의 상승세를 살리지 못하고 모두 패배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민전선은 130명의 사망자를 낸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파리 테러로 높아진 반(反)이민, 반이슬람 정서에 힘입어 1주일 전 1차 투표에서는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좌·우파 유권자들의 극우정당 경계심리가 발동하면서 결국 결선투표에서 완패했다.

여론조사기관 Ifop가 이날 결선 투표가 끝나고서 발표한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전선은 13개 도(Region) 가운데 한 곳에서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고 현지 이텔레 TV가 보도했다.

우파 제1야당인 공화당이 수도권을 포함해 7곳, 좌파 집권 사회당이 5곳에서 각각 승리할 것으로 예측됐다. 우파가 수도권에서 승리하기는 17년 만에 처음이다. 코르시카에서는 민족주의 정당이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득표율로 보면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대표인 공화당이 40%로 1위를 차지했으며 사회당은 30%, 국민전선은 28%로 그 뒤를 이었다.

국민전선은 앞서 6일 1차 투표에서 27.7%의 득표율로 공화당(26.7%)과 사회당(23.1%)을 제치고 프랑스 제1정당에 올랐다. 13개 도 가운데 6곳에서 득표율 1위를 달렸다.

이 때문에 그동안 한 번도 도 선거에서 승리하지 못한 국민전선이 결선 투표에서 1차 투표의 상승세를 이어갈지 큰 관심을 받았으나, 기성 정당의 견제와 유권자들의 결집 때문에 고배를 마셨다.

5년 전 지방선거 결선 투표율은 43%에 그쳤지만, 이번에는 58%로 치솟은 것도 국민전선에 불리하게 작용했다.

자치단체장에 출마한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대표와 르펜의 조카딸인 마리옹 마레샬 르펜 하원의원은 1차 투표에서 각각 40.6%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결선투표에서 낙선했다.

북부 노르파드칼레피카르디에 출마한 르펜 대표는 42.4%를 얻으면서 사르코지 전 대통령 측근인 공화당의 자비에 베르트랑(57.6%) 전 노동장관에게 패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남부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에 자치단체장 후보로 나선 마레샬 르펜 하원의원 역시 공화당의 크리스티앙 에스트로시 니스 시장에게 45.5% 대 54.5%로 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구조사 결과 발표 뒤 르펜 대표는 지지자들 앞에서 한 연설에서 “무엇도 우리를 멈추지 못할 것이다”면서 “우리와 함께 하고자 하면 출신을 가리지 않고 모든 프랑스인을 뭉치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회당은 르펜과 마레샬 르펜이 출마한 양 지역에서 1차 투표결과 득표율 3위를 기록하자 극우정당의 승리를 막겠다면서 자당 후보를 사퇴시켰다.

이후 이들 지역에서 좌파 유권자들이 국민전선이 아니라 공화당에 표를 던진 가운데 국민전선은 1차 투표와 비슷한 득표율에 그치면서 패했다.

하지만, 르펜 대표가 이끄는 국민전선은 최근 2년간 유럽의회 선거와 지방선거 등에서 잇달아 득표율 1위를 기록하는 저력을 보여주면서 2017년 대통령 선거를 위한 중요한 교두보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사회당 소속의 마뉘엘 발스 총리는 “국민전선이 한 곳에서도 승리하지 못했지만, 극우정당의 위험은 제거되지 않았다”고 유권자들의 경계를 당부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