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유기업 첫 ‘디폴트’… 시장충격 개별 대처 현실로

中 국유기업 첫 ‘디폴트’… 시장충격 개별 대처 현실로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4-22 00:28
수정 2015-04-22 0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기기기 업체 ‘바오딩톈웨이’ 자금난 겪다 채무이자 못 갚아

중국 국유기업이 처음으로 어음 이자를 갚지 못해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빠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중국 중앙국채등기결산공사는 21일 국유기업인 바오딩톈웨이(保定天威)가 15억 위안의 채권에 대한 이자 8550만 위안(약 149억원)을 입금하지 않아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할 수 없게 됐음을 밝혔다고 중국 관찰자망(觀察者網)이 전했다. 이는 국무원 산하 중국남방공업집단 계열사인 바오딩톈웨이가 디폴트에 빠졌음을 확인한 것이다. 중국 국유기업으로는 처음이다.

허난(河南)성 바오딩시에 본사가 있는 전기기기 업체인 이 회사는 지난해 대체 에너지 투자에서 막대한 손실이 발생해 자금난에 시달리다가 채무의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렸다. 이 회사는 이런 사정을 사전에 공시하기도 했다.

태양광 회사인 상하이 차오르(超日)에 이어 최근 인터넷 기업인 클라우드 라이브 테크놀로지도 디폴트에 빠졌지만 모두 민간기업이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바오딩톈웨이는 대형 국유기업이라는 점에서 파장이 확산될지 주목된다. 개별적인 금융 위험에 대해 개입하지 않겠다는 중국 정부의 원칙이 현실로 나타나면서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다른 국유기업도 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지난달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개별적인 금융위험 발생을 용인하고 시장화 원칙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며 “이렇게 함으로써 도덕적 위험(부실 경영에 대한 도덕적 불감증)도 막고 위험관리 의식도 높여 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 당국이 국유기업의 디폴트 위기에 개입하지 않고 관망하는 것이 시장 충격을 견딜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보기 위한 차원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4-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