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도 독일 주재 대사관에 도청시설 운영

영국도 독일 주재 대사관에 도청시설 운영

입력 2013-11-05 00:00
수정 2013-11-05 16: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독일 내 도청시설 폐쇄 후에도 영국은 지속

미국뿐 아니라 영국도 독일 베를린 주재 대사관에서 도청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영국 인디펜던트지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심지어 미국이 베를린 대사관 내 도청시설을 폐쇄하고 나서도 영국은 계속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

전 미국 국가안보국(NSA) 직원인 에드워드 스노든이 유출한 문서에 따르면 영국 정보기관인 GCHQ는 베를린에 있는 독일 연방의회와 메르켈 총리 관저 코앞에서 도청 시설을 운영했다.

NSA 문서와 항공사진, 과거 독일 내 첩보 활동에 관한 정보를 함께 살펴보면 GCHQ는 대사관 지붕에 있는 고성능 장비를 이용했다.

도청 시설은 베를린 주재 영국 대사관이 2000년 문을 연 이래 계속 있던 하얀색 원통형 텐트 같은 구조물 안에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 구조물은 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이 구조물은 GCHQ가 냉전 시절 독일과 소련의 통신을 가로채려고 서베를린에서 운영한 도청 시설과 놀라울 정도로 닮았다.

대사관 내부에 있는 장비를 이용하면 총리 관저 등 주변에 있는 정부 건물을 포함해 베를린 전역의 휴대전화 통화와 와이파이 망을 오가는 데이터, 장거리 통신 등을 빼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디펜던트지는 영국이 EU 동맹국 수도인 베를린에서 도청 시설을 운영했다는 의혹 때문에 영국과 독일 간 관계가 시험에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일 녹색당 소속 유럽의회 의원이면서 사생활과 정보 보호 운동가인 얀 알브레히트는 “GCHQ가 독일 주재 대사관 지붕에 도청 시설을 뒀다면 이것은 분명히 정치인과 기자들을 대상으로 삼은 것인데, 이들이 위협이 됐나?”라고 말했다.

알브레히트 의원은 “영국 정부는 GCHQ의 유럽 내 활동을 해명하라는 유럽연합의 요구에 대해 국가안보 이익과 관련한 활동은 언급하지 않는다며 답변을 거부했다”며 “이는 유럽 협력 정신에 위배된다. 우리는 적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영국 총리실 대변인은 인디펜던트지의 질의를 받고는 첩보 관련 답변은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인디펜던트지는 미국이 앙겔라 메르켈 총리 휴대전화 도청 파문 여파를 제한하기 위해 베를린 대사관 내 도청시설을 지난주에 폐쇄하고서도 영국은 계속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독일 방송국 ARD가 찍은 적외선 사진에서는 미국 대사관에서 나오는 열 신호가 지난주에 갑자기 줄었고 내부의 장비는 이후에도 켜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