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C 슈퍼파워 중국을 해부한다

21C 슈퍼파워 중국을 해부한다

입력 2010-04-07 00:00
수정 2010-04-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7일부터 ‘특별기획 중국’

EBS TV ‘다큐10+’가 미국을 대체할 슈퍼파워로 거론되는 중국을 심층취재한 ‘특별기획 중국’을 7일부터 4주 동안 매주 수요일 방영한다. ‘21세기, 세계를 바꾸는 중국의 힘’, ‘미국과 중국의 총성 없는 전쟁’, ‘중국식 자본주의의 탄생’, ‘덩샤오핑, 중국의 미래를 설계하다’ 4편이다.

널리 알려진 대로 중국은 지난 20여년간 지속적인 고속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죽의 장막’을 던져 버리고 국제무대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이미지 확대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오늘날의 중국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 최고지도자 덩샤오핑.  EBS 제공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오늘날의 중국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 최고지도자 덩샤오핑.
EBS 제공
눈길을 끄는 존재는 덩샤오핑이란 지도자다. 인구만 많은 가난한 사회주의국가에 불과했던 중국. 더구나 1976년 마오쩌둥이 죽은 뒤에도 중국 내 강경파들은 문화혁명을 계속하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덩샤오핑은 유명한 ‘흑묘백묘(黑猫白猫)론’을 내세워 사회주의와는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았던 ‘이윤’과 ‘외국자본과 기술’을 받아들였다. 집권 10년 만에 일어난 톈안먼사태로 인해 전면적인 반동의 분위기가 덮쳐 오기도 했지만, 덩샤오핑은 정치적 탄압과는 별개로 경제개혁만은 지속시킨다.

양감 있는 취재도 돋보인다. 톈안먼 사태를 보도했던 미국의 저널리스트 밥 우드러프가 아프리카, 브라질, 캄보디아 등을 돌면서 오늘날의 중국을 조명한다. 부작용도 있다. 이는 슈퍼파워 미국과 똑같은 모습이다. 독재정권이라도 자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면 관여치 않는다. 중국의 이런 성장은 미국과의 갈등을 낳는다. 대표적인 것이 타이완 문제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 아래 타이완의 독자노선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반면, 미국은 전략적 요충지이자 오랜 우방관계임을 내세워 타이완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국방, 금융 등 모든 분야에서 경쟁은 끊이지 않는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1996년 타이완해협 사태, 1999년 베오그라드 주재 중국대사관 오폭 사태 등을 통해 갈등이 드러나기도 했지만 양측 모두 상대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자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은 슈퍼파워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싶어하고 중국은 아직 성장에 목마르기 때문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4-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