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보물된다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보물된다

입력 2014-05-07 00:00
수정 2014-05-07 1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김명리 묘지(墓誌)도 지정예고

고려대 서울 안암캠퍼스 인근인 서울 성북구 안암동 5가 소재 보타사 대웅전 뒤편 암벽에는 우람한 규모를 자랑하는 마애보살좌상(磨崖菩薩坐像)이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상 보물 예고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상 보물 예고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한 서울 성북구 보타사 소재 고려말~조선초기 마애보살좌상.
문화재청 제공


정확히 언제인지는 가늠할 수 없지만 고려말~조선초 무렵에 만들었을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상은 전체 높이 503.3㎝, 무릎폭 341.0㎝에 달하는 규모나 현재 상태를 볼 때 왜 국가지정 문화재가 아닌지 의아함을 자아낸다.

현재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9호인 이 마애보살좌상이 보물로 격상된다.

문화재청은 개운사 암자인 보타사 마애보살상이 전체적으로 넓은 어깨, 높은 무릎 등 당당한 신체를 보여준다면서 “이 상은 보물 제1820호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과 함께 여말선초에 유행한 보살상의 한 형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는 점을 들어 보물 지정을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이 마애상은 오른편에 새긴 신중패(神衆牌) 내용을 통해 언제쯤 만들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신중패란 제석이나 범천을 비롯한 불교의 호법신들을 청하는 내용을 쓴 의식용 패를 말한다.
이미지 확대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상 보물 예고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상 보물 예고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한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제공


더불어 문화재청은 대전 비래사(飛來寺) 목조비로자나불좌상(木造毘盧遮那佛坐像)과 안동김씨 문온공파 대종회가 경기도박물관에 위탁한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正統4年銘) 김명리(金明理) 묘지(墓誌)도 함께 보물 지정을 예고했다.

비래사 좌상은 등신대(等身大)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불상으로,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단정한 조형감을 보여준다.

불상 밑면에 쓴 기록을 통해 1651년(조선 효종 2)에 조각승 무염(無染)이 만들었음을 알 수 있어 17세기 불교조각 연구에 기준자료가 된다고 평가된다.

김명리 묘지는 조선시대 성천도호부 부사(成川都護府副使)를 지낸 김명리(1368~1438)의 가계와 이력 등 행장(行狀)을 적은 묘지로, 희귀하게도 종 모양이다.

묘지 글인 지문(誌文)은 유의손(柳義孫.1398~1450)이 지었다. 묘지는 개인사를 적었지만 조선 초기 역사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이어서 자료 가치도 높다고 문화재청은 평가했다.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특성화고 학생들의 노동인권 교육과 현장실습 관리가 여전히 형식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 준비된 교재의 부재, 방문 점검의 실효성 부족 등이 드러나면서 교육청이 실질적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제7차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전국 특성화고 노동조합에서 진행한 ‘특성화고 오픈 마이크’ 행사 관련 보도를 보니 “학생들이 충분한 노동인권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정지숙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12시간의 사이버 노동인권 교육을 의무화하고 현장실습 나가기 전에 또 3시간의 대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사이버 교육 이수율이 90%라고 하지만 사이버 교육만으로는 실질적 이해가 어렵다”며 학생들이 이해와 습득이 됐는지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물으며 대면교육 확대 검토를 주문했다. 현장실습 점검 방식의 실효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학교와 교육청은 방문 일정을 사전에 조율해 점검을 실시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방문 전 회사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