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항쟁 도화선’ 이한열의 최후 함께한 운동화 복원

‘6월 항쟁 도화선’ 이한열의 최후 함께한 운동화 복원

최훈진 기자
입력 2015-04-26 23:34
수정 2015-04-27 03: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술품 복원 전문가 김겸 박사, 28년 만에 부식 부분 보존 처리

전두환 독재정권을 향한 국민들의 민주화 외침이 전국을 울리던 1987년 6월 9일. 연세대 2학년 이한열이 머리에 최루탄을 맞고 고꾸라졌다. 이한열은 27일 만에 숨을 거뒀지만 그의 죽음은 대한민국 역사의 지침을 돌려세우는 위대한 이정표가 됐다.

이미지 확대
이한열 열사 운동화의 뒤축 밑창 등이 크게 훼손된 상태로 놓여 있다. 연합뉴스
이한열 열사 운동화의 뒤축 밑창 등이 크게 훼손된 상태로 놓여 있다.
연합뉴스
그가 최후의 순간에 신고 있었던 운동화가 28년 만에 복원된다. 1990년대 부도가 난 삼화고무의 ‘타이거’ 제품인 이 운동화는 현재 폴리우레탄 재질의 밑창이 부스러지는 등 만지지도 못할 상황이다. 한 짝만 남은 이한열의 운동화는 가족이 보관하다 2004년 이한열기념관으로 옮겨졌다. 기념관은 지난해 고인의 옷가지 등 유품을 보존 처리했지만 운동화는 복원 전문가를 찾지 못해 처리를 미뤄 왔다.

운동화의 복원을 맡은 사람은 근현대 미술품 복원 전문가 김겸(47) 박사다. 김 박사는 “많은 이야기가 담긴 운동화이기에 이한열 열사가 신던 그 상태로 되돌리자는 목표를 세웠다”면서 “보관이 잘못돼 변형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나머지는 최대한 본래 상태로 복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박사는 미국에서 미술가 마르셀 뒤샹의 폴리우레탄 작품을 보존 처리한 기록을 참고하고 있다.

김 박사는 원제품 보존을 위해 운동화 끈조차 풀지 않고 작업 중이다. 그는 “이한열의 이야기는 곧 우리 세대의 이야기”라면서 “역사성을 지닌 사물은 원형대로 관리하고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4-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