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은 서로 잘 아는 낯선 사람들”

“아버지와 아들은 서로 잘 아는 낯선 사람들”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9-12-26 22:30
수정 2019-12-27 0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뮤지컬 ‘빅 피쉬’ 작가 존 어거스트

이미지 확대
뮤지컬 ‘빅 피쉬’ 작가 존 어거스트
뮤지컬 ‘빅 피쉬’ 작가 존 어거스트
1980년 미국 콜로라도주 북동부 도시 볼더. 10살 꼬마 어거스트의 낙은 방과 후 집에서 소설책에 파묻혀 지내는 것이었다. 아이는 책 속에서 거대 초콜릿 공장에서 꿈같은 시간을 보내곤 했다. 흥분을 떨쳐낼 수 없었던 아이는 작가에게 소감을 담은 손편지를 보냈고, 얼마 후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을 쓴 로알드 달에게서 답장을 받은 아이는 25년 후 감독 팀 버튼과 함께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을 리메이크해 세계적인 흥행을 올린다. 자신만의 색채와 독특한 감각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에 두터운 팬층을 둔 영화감독 팀 버튼의 곁에는 늘 작가 존 어거스트(49)가 있었다. ‘빅 피쉬’, ‘찰리와 초콜릿 공장’, ‘유령신부’, ‘다크 섀도우’, ‘프랑켄위니’ 등 팀 버튼의 선택은 언제나 어거스트였다. 올해 영화 ‘알라딘’ 각본에도 참여하며 할리우드 최고의 작가로 자리매김한 그가 영화가 아닌 뮤지컬을 들고 한국을 찾았다.

지난 23일 서울 예술의전당 CJ라운지에서 만난 어거스트는 자신의 첫 뮤지컬 참여 작 ‘빅 피쉬’를 “서로를 사랑했지만 잘 이해하지는 못했던, 어린 시절 나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착안한 이야기”라고 소개했다. 그는 “20년 전 소설 ‘빅 피쉬’ 속 아들 윌과 아버지 에드워드를 보면서 현실의 아버지와 저의 관계를 떠올리곤 했다”면서 “뮤지컬 가사 중에 ‘서로를 참 잘 아는 낯선 사람들’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그게 바로 아버지와 아들”이라고 설명했다.

다니엘 월러스가 쓴 원작 소설은 허풍쟁이 아버지 에드워드와 아버지의 과거를 따라가며 아버지의 진심을 깨닫게 되는 아들 윌의 이야기를 담았다. 2003년 어거스트가 영화로 각색해 팀 버튼에게 먼저 제안하면서 영화로도 탄생했다.

뮤지컬로는 2013년 미국 브로드웨이 무대에 올랐고, 한국에서는 지난 4일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한국 제작진·배우 버전으로 처음 공개됐다. 어거스트는 자신의 첫 뮤지컬 작품에 대해 “매우 미국적인 민화와 설화들이 등장하고, 큰 이야기의 흐름 속에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게 이 작품의 매력”이라고 했다. ‘미국적’이라고 했지만 한국 관객에게도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자신한다.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관계는 시대와 문화를 초월해 어디든지 비슷하다는 걸 느끼게 될 겁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12-2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