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림박물관 제공
4세기 원통 모양 그릇 받침
호림박물관 제공
호림박물관 제공
신라와 가야가 고대 국가로 발전함에 따라 매장법, 제사법이 체계화되며 새로운 토기들도 등장했다. 굽다리 접시, 항아리, 다양한 형태의 그릇 받침 등이 그 예다.

호림박물관 제공
4세기 토기사이호.
호림박물관 제공
호림박물관 제공
1전시실에서는 바닥이 편평한 항아리를 주로 썼던 고구려와 달리 바닥이 둥근 항아리를 많이 활용했던 백제, 가야, 신라의 제사용 토기를 볼 수 있다. 굽다리나 토우를 붙이거나 톱니, 고리 등 다양한 무늬를 새긴 신라의 항아리에는 동물 뼈, 생선 뼈, 곡식, 과일 씨 등 음식물 흔적과 쇠방울, 칼 등 금속제품 등으로 ‘공경의 마음’을 담았다.

호림박물관 제공
5세기 원통 모양 그릇 받침.
호림박물관 제공
호림박물관 제공

호림박물관 제공
성보문화재단 호림박물관의 올해 첫 특별전 ‘공경과 장엄을 담은 토기’ 포스터.
호림박물관 제공
호림박물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