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세제는 찬물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용해 에너지 절약은 물론 옷감 손상까지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이클릭아트
최신 세제는 찬물에서 더 효과가 좋아서 뜨거운 물보다 때를 잘 지운다는 분석이 나왔다. 찬물 세탁은 에너지 비용을 크게 절약하고 옷감 손상도 줄여준다.
과학 전문매체 파퓰러 사이언스는 최신 세제가 애초에 찬물에서 잘 작용하도록 개발됐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세탁하는 습관은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물론 뜨거운 물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천 기저귀, 의료용 의류, 아픈 가족이 입었던 옷은 살균을 위해 뜨거운 물로 세탁해야 한다. 체액이나 기름때가 많이 묻은 옷 역시 뜨거운 물 세탁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찬물 세탁이 생각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세제에는 다양한 종류의 때를 제거하도록 설계된 효소가 들어있는데, 이 효소가 차가운 온도에서 오히려 더 잘 작동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비영리 소비자 단체 컨슈머리포트의 조사 결과, 세제에 포함된 효소는 낮은 수온에서 때와 얼룩을 제거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됐으며 높은 온도에서는 효과가 떨어졌다.
세제 제조사들도 찬물 사용을 권장한다.
타이드와 에리얼 브랜드를 만드는 P&G는 자사 제품이 찬물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강조하며 찬물 세탁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런 변화는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다. 수십 년 전에는 찬물 세탁 효과가 떨어졌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게다가 세탁기로 뜨거운 물빨래를 할 때 드는 에너지의 90%는 물을 데우는 데 쓰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찬물로 세탁하면 이 에너지를 전혀 쓰지 않아도 된다.
찬물 세탁의 또 다른 장점은 옷감 손상이 적다는 점이다. 뜨거운 물은 옷감을 빠르게 상하게 만든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