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는 정치다】이헌재 지음 / 로도스 펴냄
요즘을 일컬어 대혼돈의 시대라고 한다. 쓰나미처럼 닥쳐온 경제 위기가 전 세계를 휘감았고 아직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망하거나 공적자금을 받고서야 간신히 살아났다. 유럽의 여러 나라들도 재정위기로 여전히 불안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적으로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수십년간 독재체제를 유지해 온 중동과 북아프리카 정권이 시민들에 의해 줄줄이 무너졌다. 이러한 혼돈은 무엇을 의미할까.신간 ‘경제는 정치다’(이헌재 지음, 로도스 펴냄)는 이런 질문을 던지면서 그 답에 대해 ‘그동안 사회를 움직여 온 시스템이 작동을 멈추었다는 의미’라고 말한다. 과거 시스템들의 한계가 드러나고 새로운 질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전 세계가 홍역을 앓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혼돈은 또 다른 시작이라고 강조한다. 새로운 흐름은 이미 오래전에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지금은 과거의 관성적 흐름과 새로운 흐름이 부딪치는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다시 말해 지금 나타나는 현상은 ‘대혼돈의 정체’라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시대의 흐름은 누구도 거스를 수 없으며 어느 사회든 흐름에 어떻게 대처하는지가 그 사회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 우리나라에서 구시대와 새로운 흐름의 충돌을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사건이 안철수 현상이라는 비유가 눈길을 끈다.
이 책은 중산층 붕괴, 양극화, 기회의 불균형이라는 어려움 속에서 정체상태에 놓인 한국경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1960년대 개발경제로부터 안철수 현상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에 나타난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세계적 금융위기의 원인과 실체를 꼼꼼하게 파헤치고 있다. 수십년간 현장에서 발로 뛰며 고민하고 관찰과 성찰을 통해서 얻은 저자의 경험을 흥미롭게 들여다볼 수 있다. 1만 5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09-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